Description
기원부터 예수의 수수께끼,
근대 사회에 대한 영향까지 그리스도교의
모든 의문에 답하는 최고의 입문서
근대 사회에 대한 영향까지 그리스도교의
모든 의문에 답하는 최고의 입문서
이 책은 『불가사의한 그리스도교』를 번역한 것이다. 그것도 신앙, 곧 복음의 관점이 아니라 [비교]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해설 비판서다. 그래서 그리스도교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믿음의 측면에만 매몰되지 않고서 이성이나 과학의 측면에서의 관찰도 덧붙이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와 같은 접근방식이 요구되는가. 그것은 대담자들의 입장에서는 지금 당대, 곧 근현대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대담자들이 보기에는, 근대화modernisation란 서구의 사상 및 제도가 전 세계를 지배하고, 나머지 나라들은 자기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이를 스탠다드로 인정하고서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근현대를 이해하고, 그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뛰어넘기 위해서는 그 근저에 있는 그리스도교를 ‘올바로’ 독해하고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흔히 서양 사상의 근거에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있다고 한다. 헬레니즘은 그리스-로마의 철학으로 대표되고, 헤브라이즘은 그리스도교로 대표된다. 철학이나 그리스도교는 서양의 유구한 전통과 문화의 퇴적물이어서, 이런 사고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동양의 여러 나라에서는 이를 이해하고 소화해내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철학은 우리의 사상인 유교나 도교 및 불교와 달리, 그리스에서 생겨나서 중세를 거쳐 수천 년의 이성적 활동의 산물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교도 또한 유대교에서 비롯한 일신교의 전통 속에서 로마 시대, 중세를 거쳐 2천 년 정도의 서양의 지배 사상으로서 면면히 흘러왔다.
그래서 혹자는 이 뿌리가 다른, 이 두 가지 조류가 어떻게 합쳐져서 오늘날의 서양의 지적 전통이 되었는가에 대해 궁금해할 수도 있다.
이는 중세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의 복원-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은 신학의 시녀다”로 대표되는-과 함께 이루어지는 그리스도교와의 통합(혹은 신플라톤주의와의 종합)을 이루고 근대의 과학 혁명을 통한 자연과학 및 철학의 재정립을 거치면서 여러 우여곡절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런 그리스도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서양의 생활 양식은 물론, 그들의 사고방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본 대담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하고 있듯이, 과학과 종교(신앙)를 대립적ㆍ이율배반적인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되고, 근대 이래의 세속화 과정에서 종교는 과학(이성)에 의해서 부정당하는 것이 아니라 지양止揚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그리스도교의 세속화 과정이 초래한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미증유의 성장을 인류에게 가져다주었지만, 이제는 그 산물인 양극 분해, 지구의 환경 오염(여기에 핵 전쟁의 위기 등)으로 인해 우리 인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국면에 이르고 있다.
이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란 없다”라는 생각 아래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여 앞으로의 문제 해결의 실마리로 삼았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은 곧 이어 나올 오사와 마사치의 『〈세계사〉의 철학』(현재 8권까지 발행)의 가이드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심화 학습을 바라는 분은 이 책들을 읽기를 권하는 바이다.
이 책은 일본을 대표하는 종교사회학자와 이론사회학자의 대담 형식으로 꾸며졌다.
그러나 대담자 두 사람의 호흡은, 마치 한 저자가 서술하듯이 스마트하게 톱니가 맞아떨어지고 있다.
특히 제3부 “어떻게 ‘서양’을 만들었을까”는 이 책의 백미다.
그리스도교가 서양 사상과 제도에 미친 영향을 아주 대중적이지만 콤팩트하게 해설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와 같은 접근방식이 요구되는가. 그것은 대담자들의 입장에서는 지금 당대, 곧 근현대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대담자들이 보기에는, 근대화modernisation란 서구의 사상 및 제도가 전 세계를 지배하고, 나머지 나라들은 자기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이를 스탠다드로 인정하고서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근현대를 이해하고, 그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뛰어넘기 위해서는 그 근저에 있는 그리스도교를 ‘올바로’ 독해하고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흔히 서양 사상의 근거에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있다고 한다. 헬레니즘은 그리스-로마의 철학으로 대표되고, 헤브라이즘은 그리스도교로 대표된다. 철학이나 그리스도교는 서양의 유구한 전통과 문화의 퇴적물이어서, 이런 사고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동양의 여러 나라에서는 이를 이해하고 소화해내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철학은 우리의 사상인 유교나 도교 및 불교와 달리, 그리스에서 생겨나서 중세를 거쳐 수천 년의 이성적 활동의 산물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교도 또한 유대교에서 비롯한 일신교의 전통 속에서 로마 시대, 중세를 거쳐 2천 년 정도의 서양의 지배 사상으로서 면면히 흘러왔다.
그래서 혹자는 이 뿌리가 다른, 이 두 가지 조류가 어떻게 합쳐져서 오늘날의 서양의 지적 전통이 되었는가에 대해 궁금해할 수도 있다.
이는 중세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의 복원-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은 신학의 시녀다”로 대표되는-과 함께 이루어지는 그리스도교와의 통합(혹은 신플라톤주의와의 종합)을 이루고 근대의 과학 혁명을 통한 자연과학 및 철학의 재정립을 거치면서 여러 우여곡절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런 그리스도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서양의 생활 양식은 물론, 그들의 사고방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본 대담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하고 있듯이, 과학과 종교(신앙)를 대립적ㆍ이율배반적인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되고, 근대 이래의 세속화 과정에서 종교는 과학(이성)에 의해서 부정당하는 것이 아니라 지양止揚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그리스도교의 세속화 과정이 초래한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미증유의 성장을 인류에게 가져다주었지만, 이제는 그 산물인 양극 분해, 지구의 환경 오염(여기에 핵 전쟁의 위기 등)으로 인해 우리 인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국면에 이르고 있다.
이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란 없다”라는 생각 아래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여 앞으로의 문제 해결의 실마리로 삼았으면 한다.
끝으로, 이 책은 곧 이어 나올 오사와 마사치의 『〈세계사〉의 철학』(현재 8권까지 발행)의 가이드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심화 학습을 바라는 분은 이 책들을 읽기를 권하는 바이다.
이 책은 일본을 대표하는 종교사회학자와 이론사회학자의 대담 형식으로 꾸며졌다.
그러나 대담자 두 사람의 호흡은, 마치 한 저자가 서술하듯이 스마트하게 톱니가 맞아떨어지고 있다.
특히 제3부 “어떻게 ‘서양’을 만들었을까”는 이 책의 백미다.
그리스도교가 서양 사상과 제도에 미친 영향을 아주 대중적이지만 콤팩트하게 해설하고 있다.
불가사의한 그리스도교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