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이론 - The Critique of Sociology 2

현대 사회의 이론 - The Critique of Sociology 2

$13.00
Description
정보화 소비화 사회의 현재와 미래

“풍족한 사회”의 다이내미즘과 매력의 근거는 무엇인가?
동시에 이 사회의 현재 형태가 만들어내는 환경과 자원의 한계,
“세계의 절반”의 빈곤이라는 과제를 어떻게 극복할까?
현대 사회의 “빛”과 “그림자”를 일관된 이론의 전개로 파악하면서, 정보와 소비 개념을 통해서 〈자유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연다.
현대 사회론의 기본서!
현대 사회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비해서 현대 사회는 엄청 다른 모습으로 비추어진다. 곧 1870년대서부터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인류 사회는 이전과는 달리, 주기적인 공황, 나아가서는 1930년대의 대공황을 맞이한다. 이제 자본주의, 아니 인류 사회가 멸망하는 건 아닌가 할 정도의 의구심이 떠오르고, 이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모색을 여러 방면에서 추구한다.
그 하나의 방식이 소련에서의 사회주의의 실험이고, 또 하나가 이른바 ‘미국형’ 자본주의라는 모델이다. 그리고 이런 방식과는 별개로, 후발 자본주의 국가에서의 ‘파시즘 체제’로 나타나는 새로운 제국주의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고 나서, 인류는 전례 없는 “풍요 사회”를 맞이한다. 미국을 선두로 하는 선진 자본주의 나라에서는 “벨 에포크belle époque[영어로는 golden age]”로 불리는 무대가 펼쳐진다. 곧 경제가 별 문제 없이 돌아가고, 각 가정에는 자동차를 필두로 전기 세탁기, TV수상기, 전화기 등을 갖추게 된다. 이게 자본주의의 “빛”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공해 문제를 필두로 한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이런 발전의 이면에 있는 이른바 “제3 세계”로 불리는 주변부 및 선진국 내부에서의 경제 격차가 이전보다 더 벌어져 심각한 지경에 처한다. 물론 자원 부족 및 고갈문제도 자본주의의 “그림자”다
이런 이율배반적인 자본주의라는 현대 사회를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 미타 무네스케라는 일본 사회학의 ‘태두’는 이 책에서 보드리야르의 “소비 사회론”과 바타이유의 “소비=탕진론”에 근거해서 그 방법을 밝히고 있다.
자본주의는 ‘기본 모순’인 시장을 확대ㆍ심화하기 위해서 “모드mode”라는 방식을 개발한다. 이게 GM 자동차의 방법으로, 이전의 포드Ford 자동차를 밀어내고서 업계의 선두 자리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에도 확산되어 지배적인 생산 방식이 되게 된다. 적어도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선진국에서는 광고를 통해 모드를 유행시킴으로써 시장을 확대ㆍ심화시킨 것이다. 물론 세계화globalisation도 이에 엄청 기여한 바 있다.
그 와중에 1990년대에 소련 등의 사회주의 체제는 붕괴하고서 더 이상의 사회주의 실험은 일단 좌절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미타 무네스케는 “자유에 근거하지 않은 평등은 결코 성립할 수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 사회는 장밋빛 무지개로만 장식되어 있는가? 그렇지는 않다. 벨 에포크의 시대를 거치고 나서도 선진국은 내부에서 양극화가 더 진전되고, 주변부의 경제적 불평등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그리고 환경 문제는 기후 이상화로 나타나듯이,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답을 미타 무네스케는 그 일부인 “하드한” 부분만 제시하고, 그 “소프트한” 부분에 대해서는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곧 이 책에서 그 대안으로서 제시하고 있는 “생산의 자기 목적화로 부터의 해방과, 살아가는 것의 본원적인 기쁨 감각의 긍정으로서의 〈소비화〉, 자원 수탈적이 아닌, 따라서 다른 사회 수탈적이지 않고 자기 사회 수탈적이지도 아닌 것과 같은 행복 형식의 무한공간의 해방으로서의 〈정보화〉라는 위상”이라는 “하드한” 대안만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에 다른 방법으로 무한하게 풍요로운 공동성과 고독, 서로 기쁨을 나눔과 자립 형식을 살아자는 걸 가능하게 하는 건 사회 전체의 형식으로서는 도리어 심플하고 최소화된, 어떠한 가치 전제로부터도 자유로운, (혹은 〈자유〉라는 가치 전제만 그 기저로서 두는) 룰의 시스템이라는 것. 사회의 형식의 폐쇄화가, 거꾸로 개인이나 집단의 (무한하게 다양한 유토피아들의!) 삶의 풍요화를 보증한다는, 〈자유로운 사회〉의 구상의 중층화된 이론”이라는 부분은 향후의 과제로 남겨둔다([그 작업은 곧 뒤에 번역본이 나오겠지만] 2016년에 쓴 『현대 사회는 어디로 가는가』에서 그 과제를 푼다).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비해서 현대 사회는 엄청 다른 모습으로 비추어진다. 곧 1870년대서부터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인류 사회는 이전과는 달리, 주기적인 공황과, 나아가서는 1930년대의 대공황을 맞이한다. 이제 자본주의, 아니 인류 사회가 멸망하는 건 아닌가 할 정도의 의구심이 떠오르고, 이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모색을 여러 방면에서 추구한다.인간에게 있어서 경제란 무엇인가. 이 책은 독자와 더불어 그 기원을 탐구함으로써 답을 찾아간다. 구체적으로는 증여, 소유, 부채, 화폐, 권력 등을 주제로 두 가지 물음이 추구된다. 첫째로, 증여가 지배적인 교환 양식으로부터 상품 교환이 지배하는 교환 양식으로의 전환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가. 둘째로, 사람들은 도대체 왜 증여하는가, 이다. 경제를 둘러싼 이행이나 교환이 어떠한 논리에 따르고 있는지를 근본에서부터 명확히 하는것만이 현재 사회를 뛰어넘는 시스템으로의 변혁의 가능성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経済の起源』을 번역한 것이다.
곧 경제‘학’의 기원이 아니라 경제의 기원을 해명하기 위해 씌어진 것이다.
흔희 이야기하는 아담 스미스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경제학의 기원이 아니라, 칼 폴라니Karl Polany 이래로 지적되어온 “호수적 증여”, “재분배”, “시장 교환”이라는 경제 시스템의 유형에 근거해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래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서 주로 다루는 “생산 양식”이 아니라, 가라타니 고진이 제시한 “교환 양식”이라는 걸 경제의 핵심 개념으로 삼고 있거니와, 이걸 계승해서 경제의 기원을 해명하고 있다.
여기에 마르셀 모스Marcel Mauss와 데이비드 그레버David Graeber의 학설, 곧 증여론에 기초한 상품 교환으로의 이행이 중요한 이론틀로서 기여한다. 그러나 문화인류학자나 역사학자들처럼 역사적ㆍ사실적인 추정이 아니라, 논리적인 추론을 중심에 두면서 사실적인 측면을 참조하고 있다. 그리고 호수적reciprocal 증여 [교환]와 상품 교환 양식 그 자체의 분석보다도 “호수적 증여→재분배→시장[상품] 교환”(더 나아가서 코뮤니즘) 양식의 변환transformation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게 저자 오사와 마사치 사회학의 강점이다. 흔희 물물 교환에서부터 (화폐를 매개로 한) 상품 교환으로 전화하고, 이 (시장에서의) 상품 교환의 발전으로부터 오늘날의 자본주의 경제가 생겨났다고 생각한다. 허나 물물 교환은 일반적인 교환 양식[형태]가 아니다. 증여가 기본적인 양식이다. 증여란 말 그대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주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는 상품 교환과 같이 사고팖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어떤 자[주로 공동체의 대표]가 주면 그걸 받아야 할 의무가 있고, 일정한 시간을 거쳐서 그에 값하는 무언가를 되돌려줄[답례] 의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행위다. 상대방의 증여를 거절한다는 건 그[가 대표하는 공동체]와의 호수적인reciprocal 관계를 맺지 못하고서 전쟁을 하겠다는 의미다. 곧 증여는 그 이면에 전쟁[과 약탈]을 깔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의 생산력이 발전하면서 ‘잉여’가 생기고, 그 잉여에 기초해서 정치 권력 등이 형성되면서 호혜적인 증여 (교환)에서 ‘재분배 시스템’이 생겨나기도 한다(이는 필연적인 게아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공동체 사이의 교역이 발전해온 게 인류의 역사다.
이 책은 이에 대한 추상적ㆍ논리적 검토다.
이 논리에 대한 간략한 요약 설명으로는 이 책의 해설판인 이치노가와 야스타카市野川容孝의 글만한 게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이걸 먼저 읽는다면 난삽하게 보이는 논리에 위들리지 않고서 끝까지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은 곧 이어 나올 오사와 마사치의 『〈세계사〉의 철학』(현재 8권까지 발행)의 가이드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심화 학습을 바라는 분은 이 책들을 읽기를 권하는 바이다.
저자

미타무네스케

見田宗介
1937년생.도쿄대학교사회학과교수역임.
『현대일본의정신구조現代日本の精神構造』(1965)나『근대일본심정의역사近代日本の心情の歴史』(1967)에서일본과일본인이더듬어온길을구체적인사상事象을사용해서선명하게분석한사회학자는,사람들을뒤흔든연속사살사건의범인을다룬「시선의지옥まなざしの地獄」(1973)에서더한층의충격을주었다.그이름을,미타무네스케見田宗介(1937년생)라부른다.
멕시코체재를계기로,더한층의비약을이룬사회학자는,“마키유우스케真木悠介‘라는이름으로에포크메이킹한저작『기류흐르는소리気流の鳴る音』(1977)를완성한다.여기서모습을얻은인간관과,거기서부터도출한코뮨에대한동경憧憬은독자적인이론으로결정結晶해가서다수의신봉자와다수의뛰어난제자를만들어냈다.그성과는『시간의비교사회학時間の比較社会学』(1981)이나『자아의기원自我の起原』(1993)이라는마키유우스케의이름으로쓴노작을거쳐,마침내『현대사회의이론現代社会の理論』(1996)에도달한다.현대세계를향한냉철과애정이공존하는시선은최신사회현상에대해서도늘예리한분석을하였거니와,지금도타의추종을불허한다.그사상이둘도없는‘타자’들과의대화를원천으로해서생겨났던것도틀림없는사실이다.대담이나강담회는수록대상으로삼지않았던『정본미타무네스케저작집定本見田宗介著作集』(전10권、2011~12)과『정본마키유우스케저작집定本真木悠介著作集』(전4권、2012~13)을보완해서정선된,주옥과같은11편.현대일본사회학의정점에군림한저자는2022년에명을달리한다.과2010년부터간행중인『〈세계사〉의철학』시리즈(현재8권까지)등이있다.

목차

시작하며

1정보화/소비화사회의전개
자립시스템의형성
1새로운꿀벌의우화
관리시스템/소비시스템
2디자인과광고와모드
정보화로서의소비화
3욕망의공허한형식
또는욕망의데카르트공간
4자본주의상의전환
순수자본주의,로서의<정보화/소비화사회>
5유혹당해있는것의황홀과불안
시스템의고리로서의행복/행복의고리로서의시스템
6시스템과외부

2환경의임계/자원의임계
현대사회의“임계문제”Ⅰ
1<<침묵의봄>>
2미나마타
3환경
4자원
5“붐타운”.자립시스템의한계

3남의빈곤/북의빈곤
현대사회의“임계문제”Ⅱ
1한계의전이.원격화/불가시화의기제
2“풍요로운사회”가만들어내는기아
3“인구문제”의구조
4빈곤이라는컨셉.이중의박탈
5“북의빈곤”.강요된부유함
6정보화/소비화사회와“외부”

4정보화/소비화사회의전회
자립시스템의투철
서“그래도가장매력적인사회”?
1소비컨셉의두가지위상
2소비의두가지컨셉과“한계문제”
3무한공간의재정위.이륙과착륙
4“코코아퍼프”
5“자원소비없는성장”의가능성과한계
6정보화와“외부문제”.방법으로서의정보화
7정보컨셉의두가지위상
8<단순한지복至福>.이륙과착륙
결정보화/소비화사회의전회

끝내고나서
2018년개정판(증보)맺음말

출판사 서평

현대사회는어디서와서어디로가는가?

19세기말이나20세기초에비해서현대사회는엄청다른모습으로비추어진다.곧1870년대서부터제1차세계대전을거치면서인류사회는이전과는달리,주기적인공황,나아가서는1930년대의대공황을맞이한다.이제자본주의,아니인류사회가멸망하는건아닌가할정도의의구심이떠오르고,이런상황을벗어나기위한모색을여러방면에서추구한다.
그하나의방식이소련에서의사회주의의실험이고,또하나가이른바‘미국형’자본주의라는모델이다.그리고이런방식과는별개로,후발자본주의국가에서의‘파시즘체제’로나타나는새로운제국주의방식이있었다.
그러나제2차세계대전을거치고나서,인류는전례없는“풍요사회”를맞이한다.미국을선두로하는선진자본주의나라에서는“벨에포크belleepoque[영어로는goldenage]”로불리는무대가펼쳐진다.곧경제가별문제없이돌아가고,각가정에는자동차를필두로전기세탁기,TV수상기,전화기등을갖추게된다.이게자본주의의“빛”이다.
그러나그이면에는공해문제를필두로한환경문제가대두되고,이런발전의이면에있는이른바“제3세계”로불리는주변부및선진국내부에서의경제격차가이전보다더벌어져심각한지경에처한다.물론자원부족및고갈문제도자본주의의“그림자”다

이런이율배반적인자본주의라는현대사회를올바로파악하기위해미타무네스케라는일본사회학의‘태두’는이책에서보드리야르의“소비사회론”과바타이유의“소비=탕진론”에근거해서그방법을밝히고있다.
자본주의는‘기본모순’인시장을확대·심화하기위해서“모드mode”라는방식을개발한다.이게GM자동차의방법으로,이전의포드Ford자동차를밀어내고서업계의선두자리를차지했을뿐만아니라다른산업분야에도확산되어지배적인생산방식이되게된다.
적어도2차세계대전이후의선진국에서는광고를통해모드를유행시킴으로써시장을확대·심화시킨것이다.물론세계화globalisation도이에엄청기여한바있다.
그와중에1990년대에소련등의사회주의체제는붕괴하고서더이상의사회주의실험은일단좌절된것으로보인다.이를미타무네스케는“자유에근거하지않은평등은결코성립할수없다”고설명하고있다.
그렇다면현대사회는장밋빛무지개로만장식되어있는가?그렇지는않다.벨에포크의시대를거치고나서도선진국은내부에서양극화가더진전되고,주변부의경제적불평등은전혀나아지지않았다.그리고환경문제는기후이상화로나타나듯이,더심각해지고있다.

이에대한답을미타무네스케는그일부인“하드한”부분만제시하고,그“소프트한”부분에대해서는과제로남겨두고있다.곧이책에서그대안으로서제시하고있는“생산의자기목적화로부터의해방과,살아가는것의본원적인기쁨감각의긍정으로서의<소비화>,자원수탈적이아닌,따라서다른사회수탈적이지않고자기사회수탈적이지도아닌것과같은행복형식의무한공간의해방으로서의<정보화>라는위상”이라는“하드한”대안만제시하고있다.그리고“각각에다른방법으로무한하게풍요로운공동성과고독,서로기쁨을나눔과자립형식을살아자는걸가능하게하는건사회전체의형식으로서는도리어심플하고최소화된,어떠한가치전제로부터도자유로운,(혹은<자유>라는가치전제만그기저로서두는)룰의시스템이라는것.사회의형식의폐쇄화가,거꾸로개인이나집단의(무한하게다양한유토피아들의!)삶의풍요화를보증한다는,<자유로운사회>의구상의중층화된이론”이라는부분은향후의과제로남겨둔다([그작업은곧뒤에번역본이나오겠지만]2016년에쓴『현대사회는어디로가는가』에서그과제를푼다).
19세기말이나20세기초에비해서현대사회는엄청다른모습으로비추어진다.곧1870년대서부터제1차세계대전을거치면서인류사회는이전과는달리,주기적인공황과,나아가서는1930년대의대공황을맞이한다.이제자본주의,아니인류사회가멸망하는건아닌가할정도의의구심이떠오르고,이런상황을벗어나기위한모색을여러방면에서추구한다.인간에게있어서경제란무엇인가.이책은독자와더불어그기원을탐구함으로써답을찾아간다.구체적으로는증여,소유,부채,화폐,권력등을주제로두가지물음이추구된다.첫째로,증여가지배적인교환양식으로부터상품교환이지배하는교환양식으로의전환은어떻게해서생기는가.둘째로,사람들은도대체왜증여하는가,이다.
경제를둘러싼이행이나교환이어떠한논리에따르고있는지를근본에서부터명확히하는것만이현재사회를뛰어넘는시스템으로의변혁의가능성도찾을수있을것이다.

이책은『の起源』을번역한것이다.
곧경제‘학’의기원이아니라경제의기원을해명하기위해씌어진것이다.
흔희이야기하는아담스미스를필두로하는‘자유주의’경제학의기원이아니라,칼폴라니KarlPolany이래로지적되어온“호수적증여”,“재분배”,“시장교환”이라는경제시스템의유형에근거해서이야기를전개하고있다.그래서마르크스주의경제학에서주로다루는“생산양식”이아니라,가라타니고진이제시한“교환양식”이라는걸경제의핵심개념으로삼고있거니와,이걸계승해서경제의기원을해명하고있다.
여기에마르셀모스MarcelMauss와데이비드그레버DavidGraeber의학설,곧증여론에기초한상품교환으로의이행이중요한이론틀로서기여한다.
그러나문화인류학자나역사학자들처럼역사적·사실적인추정이아니라,논리적인추론을중심에두면서사실적인측면을참조하고있다.
그리고호수적reciprocal증여[교환]와상품교환양식그자체의분석보다도“호수적증여→재분배→시장[상품]교환”(더나아가서코뮤니즘)양식의변환transformation에초점이맞추어져있다.
이게저자오사와마사치사회학의강점이다.

흔희물물교환에서부터(화폐를매개로한)상품교환으로전화하고,이(시장에서의)상품교환의발전으로부터오늘날의자본주의경제가생겨났다고생각한다.허나물물교환은일반적인교환양식[형태]가아니다.증여가기본적인양식이다.
증여란말그대로상대방에게‘무언가’를주는것이다.그래서여기에는상품교환과같이사고팖이한꺼번에이루어지는게아니다.어떤자[주로공동체의대표]가주면그걸받아야할의무가있고,일정한시간을거쳐서그에값하는무언가를되돌려줄[답례]의무에의해서이루어지는행위다.
상대방의증여를거절한다는건그[가대표하는공동체]와의호수적인reciprocal관계를맺지못하고서전쟁을하겠다는의미다.곧증여는그이면에전쟁[과약탈]을깔고있는것이다.
그러나사회의생산력이발전하면서‘잉여’가생기고,그잉여에기초해서정치권력등이형성되면서호혜적인증여(교환)에서‘재분배시스템’이생겨나기도한다(이는필연적인게아니다).이런과정을거치면서공동체사이의교역이발전해온게인류의역사다.
이책은이에대한추상적·논리적검토다.
이논리에대한간략한요약설명으로는이책의해설판인이치노가와야스타카市野川容孝의글만한게없을것이다.이책을읽기전에이걸먼저읽는다면난삽하게보이는논리에위들리지않고서끝까지좋은길라잡이가될것이다.

끝으로,이책은곧이어나올오사와마사치의『<세계사>의철학』(현재8권까지발행)의가이드에해당된다.이에대한심화학습을바라는분은이책들을읽기를권하는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