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엄마를 자살로 상실한
아들이 기억하는 엄마의 봄,
그리고 그가 다시 맞은 봄을 써내려 간 시(詩)
아들이 기억하는 엄마의 봄,
그리고 그가 다시 맞은 봄을 써내려 간 시(詩)
대한민국은 2003년 이후(2016·2017년 제외) 줄곧 OECD 자살률 1위 국가라는 부끄러운 오명을 이어 오고 있다. 그리고 이 부끄러운 오명 뒤에서 가장 고통받고 있는 존재는 바로 ‘자살 유가족’(자살로 가족을 떠나보내고 남겨진 가족들)이다. 이들이 고통받는 이유는, 가장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을 때로는 ‘은폐해야만 하는’ 사회적 압박감에서 온다. 그런데, 대다수 자살 유가족들이 놓인 이 거친 상황을 뚫고 매년 ‘스스로가 자살 유가족임’을 고백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소재웅 작가이다.
2021년 6월 말, 사랑하는 엄마를 떠나보낸 소재웅 작가는 매년 엄마의 흔적을 기록한 도서를 집필하고 있다. 〈나의 아름다운 엄마 김영희〉, 〈엄마의 감사〉, 〈엄마의 말씀〉에 이어 2024년 여름, 〈엄마의 봄〉을 독자들 앞에 내놓는다.
그는 〈엄마의 봄〉 서두에 집필의 목적을 분명히 밝힌다.
“2023년 봄, 나는 문득 ‘자살 유가족의 마음’을 산문이 아닌 운문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산문으로 가닿을 수 없는 그 어떤 지점을 ‘운문’으로 돌파해보고 싶다는 호기였다.”
엄마가 우울증으로 힘들어했던 2021년 쓸쓸했던 봄, 3년이 흘러 그 위로 새롭게 밀려온 아들의 봄을 담아내기 위해, 그가 찾은 것은 ‘시’였다. 그는 자살 유가족만이 느낄 수 있는 깊은 희로애락을 ‘시’라는 장르를 통해 독자들에게 알리고 싶다는 열망으로 시를 써 내려갔다. 때로는 아주 날카로운 시를 쓰기도 했고, 때로는 아주 따뜻한 시를 쓰기도 했다. 그리고 그 시들 중, 독자들에게 반드시 가닿았으면 하는 시를 추리고 추려 엮은 시집 〈엄마의 봄〉.
〈엄마의 봄〉은 크게 보아 두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는, 자살 유가족으로서의 마음을 담은 소재웅 작가의 시가 이어지고, 후반부에는, 2024년 봄을 맞으며 ‘예상치 않게 밀려온 봄의 생명력’을 온 몸으로 느끼는 소재웅 작가의 고백과 다짐이 이어진다.
소재웅 작가는 〈엄마의 봄〉을 써 내려가며 단순히 ‘자살 유가족’만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는 이 세상 모든 사람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상실의 아픔’, 그 이후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이 시를 바친다고 고백한다. 〈엄마의 봄〉을 매듭짓는 대목에서 그가 고백한다.
“우리는 다시 쓰며, 다시 산다. 쓰던 중 몰려온 봄의 생명은 뜻밖의 선물이었고 살아갈 용기를 주었다. 천국에서 비로소 완벽한 봄을 맞이했을 봄처럼 빛나는 엄마를 그려본다. 상실, 그 후를 살아가는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상실, 그 이후를 살아가는 모든 독자들에게 〈엄마의 봄〉은 따뜻한 위로와 공감을 선물할 것이다.
2021년 6월 말, 사랑하는 엄마를 떠나보낸 소재웅 작가는 매년 엄마의 흔적을 기록한 도서를 집필하고 있다. 〈나의 아름다운 엄마 김영희〉, 〈엄마의 감사〉, 〈엄마의 말씀〉에 이어 2024년 여름, 〈엄마의 봄〉을 독자들 앞에 내놓는다.
그는 〈엄마의 봄〉 서두에 집필의 목적을 분명히 밝힌다.
“2023년 봄, 나는 문득 ‘자살 유가족의 마음’을 산문이 아닌 운문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산문으로 가닿을 수 없는 그 어떤 지점을 ‘운문’으로 돌파해보고 싶다는 호기였다.”
엄마가 우울증으로 힘들어했던 2021년 쓸쓸했던 봄, 3년이 흘러 그 위로 새롭게 밀려온 아들의 봄을 담아내기 위해, 그가 찾은 것은 ‘시’였다. 그는 자살 유가족만이 느낄 수 있는 깊은 희로애락을 ‘시’라는 장르를 통해 독자들에게 알리고 싶다는 열망으로 시를 써 내려갔다. 때로는 아주 날카로운 시를 쓰기도 했고, 때로는 아주 따뜻한 시를 쓰기도 했다. 그리고 그 시들 중, 독자들에게 반드시 가닿았으면 하는 시를 추리고 추려 엮은 시집 〈엄마의 봄〉.
〈엄마의 봄〉은 크게 보아 두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는, 자살 유가족으로서의 마음을 담은 소재웅 작가의 시가 이어지고, 후반부에는, 2024년 봄을 맞으며 ‘예상치 않게 밀려온 봄의 생명력’을 온 몸으로 느끼는 소재웅 작가의 고백과 다짐이 이어진다.
소재웅 작가는 〈엄마의 봄〉을 써 내려가며 단순히 ‘자살 유가족’만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는 이 세상 모든 사람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상실의 아픔’, 그 이후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이 시를 바친다고 고백한다. 〈엄마의 봄〉을 매듭짓는 대목에서 그가 고백한다.
“우리는 다시 쓰며, 다시 산다. 쓰던 중 몰려온 봄의 생명은 뜻밖의 선물이었고 살아갈 용기를 주었다. 천국에서 비로소 완벽한 봄을 맞이했을 봄처럼 빛나는 엄마를 그려본다. 상실, 그 후를 살아가는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상실, 그 이후를 살아가는 모든 독자들에게 〈엄마의 봄〉은 따뜻한 위로와 공감을 선물할 것이다.
엄마의 봄 : 엄마의 쓸쓸했던 봄, 3년 후 그 위로 밀려온 아들의 새로운 봄
$1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