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의 노래 - 문힘시선 29

무릎의 노래 - 문힘시선 29

$11.00
Description
시집 『무릎의 노래』에 수록된 작품의 제목을 일별해보면 대체로 사물을 소재로 하는 시가 대다수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차의갑 시의 전개는 사물에 대하여 시인의 영감이 집중하여 물아일체의 시를 새로운 이미지즘으로 해석해내는 의미의 형상화를 이루고 있다.
차 시인의 이번 시집은 마치 릴케의 사물시집 『신시집』의 신세대 버전처럼 익숙한 듯 새롭게 읽혔다. 릴케는 낭만적이며 종교적인 시를 쓰다가 조각가 로댕과 만나 주관적 영감에 의지해야 하는 불안한 자신의 작업과는 달리 가시적인 조각의 세계에서 새로움 깨달음을 갖게 되었다. 이후 릴케는 언어에 조각과 같은 조형성을 부여하고자 노력했다. 릴케는 사물에 대해 인내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집중하여 사유함으로서 사물의 마음을 열고 그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차의갑 시에서 서정성이 배제되거나 사물의 의인화 같은 작위적 문장은 보이지 않는다. 시의 본질이자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서정을 바탕으로 사물의 형상화를 통해 사람의 풍경을 옮기는 독창성이 이번 시집 전편에 흐르고 있다.

저자

차의갑

저자:차의갑
대전출생
2010년《시에티카》등단
대전작가회의회원
수레바퀴문학회회원
시집『바지락나비』

목차


제1부도마의경전
도마의경전/해장곡호주머니/매미는울지않는다/뿌리의기교/봉걸레/가시연/귀의눈/민들레정류장/악수/향수/독거/바퀴/노이발사/맷돌부부

제2부무릎의노래
길/무릎의노래/퇴화진행형/계묘년매미/조련사/이유있는고추벌레/공/주름책/어머니의성/순서/술병/호박을심다/백지/패배의철학/갈등/도랑창을보다

제3부소나무의환상통
종/밤꽃/꼬리/벌/다리/달걀프라이/핀잔/옥수수/소나무의환상통/보리밥/유전자/천렵/손수레/텃새/성게나무

제4부거품의힘
모깃불/허리띠/수수/제비/대밭역/폐선/친구/투명한벽/거품의힘/어버이나무/창고정리/노치원/독방의시간/단풍/도시의참새

해설
물아일체의시적자아와의미의형상화
김윤환(시인,문학평론가)

출판사 서평


시집『무릎의노래』에수록된작품의제목을일별해보면대체로사물을소재로하는시가대다수를차지함을알수있다.차의갑시의전개는사물에대하여시인의영감이집중하여물아일체의시를새로운이미지즘으로해석해내는의미의형상화를이루고있다.
차시인의이번시집은마치릴케의사물시집『신시집』의신세대버전처럼익숙한듯새롭게읽혔다.릴케는낭만적이며종교적인시를쓰다가조각가로댕과만나주관적영감에의지해야하는불안한자신의작업과는달리가시적인조각의세계에서새로움깨달음을갖게되었다.이후릴케는언어에조각과같은조형성을부여하고자노력했다.릴케는사물에대해인내심을가지고사랑으로집중하여사유함으로서사물의마음을열고그본질을파악하고자하였다.
차의갑시에서서정성이배제되거나사물의의인화같은작위적문장은보이지않는다.시의본질이자원형이라고할수있는서정을바탕으로사물의형상화를통해사람의풍경을옮기는독창성이이번시집전편에흐르고있다.

<서평>
차의갑사물시의특징은시인이영적혹은형이상학적언어로만말하는것이아니라,사물을오랫동안응시하면그사물에깃든시대의현상과시인의영적몸부림을함께보게한다는것이다.시의본질이자원형이라고할수있는서정을바탕으로사물의내적형상화를통해사람의풍경을옮기는독창성이이번시집전편에흐르고있다.좀더깊이읽다보면차의갑의시는시적대상인사물을던져놓고독자가스스로거울이되어사물에자신을비춰보길유도한다.시인이사물을무형의내적이미지로재창조함으로써독자로하여금형상미를통한내적사유가이루어지도록돕는것이바로차의갑시의메커니즘이되고있는것이다.
-김윤환(시인,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