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 저자 임봉택 선생(76세)은 군산 앞 바다 개야도에서 태어나고 자란 어부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열세 살 때부터 아버지를 따라 고기잡이배를 타며 거친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았다. 여리고 작은 손바닥에 바닷일로 옹이가 박히고, 육지보다는 바다가 더 익숙해질 무렵, 그의 삶에 예상치 못한 태풍이 불어닥쳤다. 1972년 1월, 친구 박춘환, 유명록 선생과 함께 군산경찰서에 끌려간 것이다. 불법 감금된 상태에서 모진 고문을 당한 끝에 반공법,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개월을 선고받고 감옥살이를 해야 했다.
선생의 인생에서 1년여의 감옥살이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죽어서나 잊지, 살아서는 잊을 수 없는 끔찍한 사연”들은 일상을 뒤흔들었다. 친했던 친지와 친구들의 따가운 시선도 견디기 어려웠다.
수년 동안 정처 없이 떠돌던 임봉택 선생에게 삶의 거처가 돼준 것은 “글쓰기”였다. 아무도 들어주지 않던 그 이야기를, 임 선생은 망망한 대해를 항해하던 밤, 배 안에 쭈그려 앉아 한 자 한 자 쓰기 시작했다. 고기잡이를 마치고 돌아온 육지의 새벽, 조그만 방에 엎드려 한 장 한 장 글로 써 내려갔다. 고문으로 일그러진 손가락 사이로 연필을 들고, 사리와 조금 시간이 적힌 바다 달력의 뒷장을 공책 삼아 “결코 잊을 수 없는 고통”을 글로 풀어내기 시작했다. 쓰다가 분노가 솟고 눈물이 날 때면, “잠시 쉬어 가겠다”고 한숨을 돌리다가 또 썼다.
처음엔 한 장을 채우기도 어려웠지만, 써 내려갈수록 고통이 조금씩 옅어지는 걸 느꼈다. 서서히, 어린 시절의 따뜻한 기억이 되살아났다. 12명이 모여 살던 조그만 이엉 집에서 하나 뿐인 화장실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육지의 참외는 꿀맛인데 개야도 참외는 왜 맛이 없는지, 동네 어르신이 돌아가시면 가족들은 슬퍼도 아이들은 왜 잔치 분위기였는지, 임 선생은 어릴 적의 유쾌하고 따뜻한 기억 속으로 독자를 이끈다. 첫사랑의 아련한 추억, 함께 고기잡이 나간 선원이 북한 경비정이 쏜 총에 맞은 일, 나침반 하나 가지고 캄캄한 안개 속을 항해하던 선장과 뱃사람들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의 글쓰기는 하루하루가 신비스럽기만 한 딸의 육아일기로, 삶의 가치와 기쁨을 일깨워 준 독서 일기로 이어지며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는, 삶에서 얻은 통찰을 들려준다. 텃밭에 크고 작은 꽃을 키우며, 보잘것 없이 버려졌던 나무들에게 자리를 내주며 임 선생은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들,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것들이 무엇인지 깨달아 간다.
어둡고 험한 군사독재 시절 고문피해자요, 조작간첩 피해자에게는 더 이상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아름다움이 자리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우리의 편견과 달리 임봉택 선생의 글은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는 삶의 경이로움과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빼곡한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다. 하늘, 바람, 바다, 물고기, 꽃, 토끼, 고양이, 언제 어디서나 뭇 생명에 보내는 지대한 관심과 사랑, 거기서 느끼는 즐거움과 기쁨을 보여준다. 고문으로 부서진 삶을 다시 일으켜 세운 힘은 무엇인지, 또 그것은 삶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라는 질문에 대한 소박한 답을 제공한다. “쓰는 인간” 임봉택 선생은 우리는 왜 쓰는가, 쓰는 행위의 본질에 대한 작은 일깨움을 줄 것이다.
이 책에는 임봉택 선생이 직접 그린 그림 3점이 실려있다.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3가지, 배와 왼손, 그리고 아내 편복희 씨를 그린 것이다. 임 선생과 오랜 만남을 이어온 유현미 작가의 그림 지도가 밑받침이 됐다. 선생의 그림은 거칠고 투박한 어부의 손으로 써 내려간 글과 함께 죽음보다 강한 인간의 삶을 소박하고도 아름답게 펼쳐 놓는다.
표지 그림을 그린 유현미 작가는 세상에 존재하는 온갖 작은 것들, 이를테면 벌레한테 갉아먹혀 잎맥만 남은 낙엽, 매미 날개 한 짝을 끌고 가는 개미, 퇴근길 전철에서 잠든 직장인, 텃밭 아욱잎에 사마귀가 벗어놓은 허물, 고라니 똥 들에게 쉽게 마음을 빼앗긴다. 그들을 만난 순간의 애틋함과 설렘과 기쁨을 담아 온전한 존재로 그려낸다. 아흔 살 아버지와 함께 지은 그림책 〈쑥갓 꽃을 그렸어〉를 비롯, 〈마음은 파도친다〉 〈발은 땅을 디디고 손은 흙을 어루만지며〉 들을 쓰고 그렸다.
선생의 인생에서 1년여의 감옥살이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죽어서나 잊지, 살아서는 잊을 수 없는 끔찍한 사연”들은 일상을 뒤흔들었다. 친했던 친지와 친구들의 따가운 시선도 견디기 어려웠다.
수년 동안 정처 없이 떠돌던 임봉택 선생에게 삶의 거처가 돼준 것은 “글쓰기”였다. 아무도 들어주지 않던 그 이야기를, 임 선생은 망망한 대해를 항해하던 밤, 배 안에 쭈그려 앉아 한 자 한 자 쓰기 시작했다. 고기잡이를 마치고 돌아온 육지의 새벽, 조그만 방에 엎드려 한 장 한 장 글로 써 내려갔다. 고문으로 일그러진 손가락 사이로 연필을 들고, 사리와 조금 시간이 적힌 바다 달력의 뒷장을 공책 삼아 “결코 잊을 수 없는 고통”을 글로 풀어내기 시작했다. 쓰다가 분노가 솟고 눈물이 날 때면, “잠시 쉬어 가겠다”고 한숨을 돌리다가 또 썼다.
처음엔 한 장을 채우기도 어려웠지만, 써 내려갈수록 고통이 조금씩 옅어지는 걸 느꼈다. 서서히, 어린 시절의 따뜻한 기억이 되살아났다. 12명이 모여 살던 조그만 이엉 집에서 하나 뿐인 화장실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육지의 참외는 꿀맛인데 개야도 참외는 왜 맛이 없는지, 동네 어르신이 돌아가시면 가족들은 슬퍼도 아이들은 왜 잔치 분위기였는지, 임 선생은 어릴 적의 유쾌하고 따뜻한 기억 속으로 독자를 이끈다. 첫사랑의 아련한 추억, 함께 고기잡이 나간 선원이 북한 경비정이 쏜 총에 맞은 일, 나침반 하나 가지고 캄캄한 안개 속을 항해하던 선장과 뱃사람들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의 글쓰기는 하루하루가 신비스럽기만 한 딸의 육아일기로, 삶의 가치와 기쁨을 일깨워 준 독서 일기로 이어지며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는, 삶에서 얻은 통찰을 들려준다. 텃밭에 크고 작은 꽃을 키우며, 보잘것 없이 버려졌던 나무들에게 자리를 내주며 임 선생은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들,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것들이 무엇인지 깨달아 간다.
어둡고 험한 군사독재 시절 고문피해자요, 조작간첩 피해자에게는 더 이상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아름다움이 자리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우리의 편견과 달리 임봉택 선생의 글은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는 삶의 경이로움과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빼곡한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다. 하늘, 바람, 바다, 물고기, 꽃, 토끼, 고양이, 언제 어디서나 뭇 생명에 보내는 지대한 관심과 사랑, 거기서 느끼는 즐거움과 기쁨을 보여준다. 고문으로 부서진 삶을 다시 일으켜 세운 힘은 무엇인지, 또 그것은 삶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라는 질문에 대한 소박한 답을 제공한다. “쓰는 인간” 임봉택 선생은 우리는 왜 쓰는가, 쓰는 행위의 본질에 대한 작은 일깨움을 줄 것이다.
이 책에는 임봉택 선생이 직접 그린 그림 3점이 실려있다.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3가지, 배와 왼손, 그리고 아내 편복희 씨를 그린 것이다. 임 선생과 오랜 만남을 이어온 유현미 작가의 그림 지도가 밑받침이 됐다. 선생의 그림은 거칠고 투박한 어부의 손으로 써 내려간 글과 함께 죽음보다 강한 인간의 삶을 소박하고도 아름답게 펼쳐 놓는다.
표지 그림을 그린 유현미 작가는 세상에 존재하는 온갖 작은 것들, 이를테면 벌레한테 갉아먹혀 잎맥만 남은 낙엽, 매미 날개 한 짝을 끌고 가는 개미, 퇴근길 전철에서 잠든 직장인, 텃밭 아욱잎에 사마귀가 벗어놓은 허물, 고라니 똥 들에게 쉽게 마음을 빼앗긴다. 그들을 만난 순간의 애틋함과 설렘과 기쁨을 담아 온전한 존재로 그려낸다. 아흔 살 아버지와 함께 지은 그림책 〈쑥갓 꽃을 그렸어〉를 비롯, 〈마음은 파도친다〉 〈발은 땅을 디디고 손은 흙을 어루만지며〉 들을 쓰고 그렸다.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