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발표 100주년, 새로운 번역으로 만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인 마르셀 모스의 대표작 『증여론』이 발표된 지 100년째 되는 해에 나오게 된 새 번역이다. 바타유, 레비스트로스, 부르디외, 데리다, 푸코 등에 이르기까지 인류학의 고전 가운데서도 첫손에 꼽히는 『증여론』의 영향력은 여전히 고갈되지 않은 채 새로운 탐구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사회인류학 문헌 중 가장 유명하지만 가장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증여론』은 1950년 레비스트로스가 모스의 저작 전반에 관해 쓴 ‘서문’과 함께 재출판되며 학계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레비스트로스는 ‘서문’에서 “『증여론』이 가진 놀라움 힘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걸까? 거기에는 감각적 인상에 기초한 묘사와 본문을 짓누르는 주석 속에 압축된 박식함이 참으로 절묘하게 병렬되어 있다”라고 논평하면서 “정신은 과학의 진보에서 결정적인 한순간을 목도하고 있다는 불가해하지만 절대적인 확신에 사로잡히는 감정”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증여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줄 모스의 증여론 관련 논문 두 편과 연구자들의 ‘대담’
20여 년 만에 새로 번역한 이번 『증여론』에는 짧지만, 증여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문 두 편(「트라키아인의 태곳적 계약 형태」, 「선물, 독」)과 60쪽 분량의 연구자들의 「대담」이 수록되어 읽는 이의 이해를 돕는다. 무엇보다도 증여라는 주제를 오랜 시간 탐구해 온 세 명의 연구자가 나눈 「대담」은 선물/증여, 호혜/호수, 총체적 급부 등 핵심 용어 번역을 비롯해 ‘하우’나 제삼자의 문제, 갚을 의무 등 증여론의 논쟁적 지점과 과제들을 펼쳐놓고 토론을 전개함으로써 『증여론』이라는 이 “복잡하면서도 단순한” 책이 열어젖힌 관점과 논점은 무엇이고 인류학 안팎에서 촉발한 전방위의 학문적, 실천적 논의가 무엇인지를 가늠하게 하며, 앞으로도 계속될 관련 논의의 지평을 조망하게 한다.
옮긴이는 한국에서 20여 년 만에 새로운 번역서를 내면서 “한국어로 된 글로서는 너무 어렵지 않게 읽히는 글이 되길 바라면서 번역”했다고 소박하게 밝히지만, 본문의 가독성과 이해를 돕기 위해 꼼꼼하고 치밀하게 맥락을 이어주는 옮긴이 주석을 달고 원서의 주석번역에 많은 공을 들였다. 한편 선집 발간을 총괄하는 박정호 교수는 「대담」에서 “2002년에 국내에서 처음 번역 출판된 『증여론』은 우리 학계에 큰 축복이었습니다. 이제 『증여론』을 둘러싸고 지난 20여 년 이어져 온 논의의 궤적을 되돌아볼 때가 된 것” 같다며 ‘선집’에 포함될 모스의 다른 주요 저서들과 함께 증여론의 메시지가 더 크게 증폭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따라서 스칸디나비아의 에다(Edda)와 고대 인도의 베다(Véda)로부터 태평양 연안 부근까지, 멜라네시아의 트로브리안드 군도에서 말리노프스키가 연구한 ‘쿨라’, 보아스가 연구한 알래스카 콰키우틀 인디언의 ‘포틀래치’까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고, 전반부에서 인류학적 논의가 지배적이었다면 후반부에서는 복지나 연대, 국제동맹 등 사회학과 정치학적 논의로 뛰어넘기도 하는 이 책에 대해서 독자들 역시 레비스트로스가 느꼈을 “결정적 한순간”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증여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줄 모스의 증여론 관련 논문 두 편과 연구자들의 ‘대담’
20여 년 만에 새로 번역한 이번 『증여론』에는 짧지만, 증여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문 두 편(「트라키아인의 태곳적 계약 형태」, 「선물, 독」)과 60쪽 분량의 연구자들의 「대담」이 수록되어 읽는 이의 이해를 돕는다. 무엇보다도 증여라는 주제를 오랜 시간 탐구해 온 세 명의 연구자가 나눈 「대담」은 선물/증여, 호혜/호수, 총체적 급부 등 핵심 용어 번역을 비롯해 ‘하우’나 제삼자의 문제, 갚을 의무 등 증여론의 논쟁적 지점과 과제들을 펼쳐놓고 토론을 전개함으로써 『증여론』이라는 이 “복잡하면서도 단순한” 책이 열어젖힌 관점과 논점은 무엇이고 인류학 안팎에서 촉발한 전방위의 학문적, 실천적 논의가 무엇인지를 가늠하게 하며, 앞으로도 계속될 관련 논의의 지평을 조망하게 한다.
옮긴이는 한국에서 20여 년 만에 새로운 번역서를 내면서 “한국어로 된 글로서는 너무 어렵지 않게 읽히는 글이 되길 바라면서 번역”했다고 소박하게 밝히지만, 본문의 가독성과 이해를 돕기 위해 꼼꼼하고 치밀하게 맥락을 이어주는 옮긴이 주석을 달고 원서의 주석번역에 많은 공을 들였다. 한편 선집 발간을 총괄하는 박정호 교수는 「대담」에서 “2002년에 국내에서 처음 번역 출판된 『증여론』은 우리 학계에 큰 축복이었습니다. 이제 『증여론』을 둘러싸고 지난 20여 년 이어져 온 논의의 궤적을 되돌아볼 때가 된 것” 같다며 ‘선집’에 포함될 모스의 다른 주요 저서들과 함께 증여론의 메시지가 더 크게 증폭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따라서 스칸디나비아의 에다(Edda)와 고대 인도의 베다(Véda)로부터 태평양 연안 부근까지, 멜라네시아의 트로브리안드 군도에서 말리노프스키가 연구한 ‘쿨라’, 보아스가 연구한 알래스카 콰키우틀 인디언의 ‘포틀래치’까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고, 전반부에서 인류학적 논의가 지배적이었다면 후반부에서는 복지나 연대, 국제동맹 등 사회학과 정치학적 논의로 뛰어넘기도 하는 이 책에 대해서 독자들 역시 레비스트로스가 느꼈을 “결정적 한순간”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증여론 (양장)
$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