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파생금융 사용설명서》《돈은 어떻게 자라는가》 저자 최신작
★금융투자자라면 초보부터 마스터까지 투자를 새롭게 할 '금융투자 필독서'
★선량한 사람들을 위한 최소한의 '금융투자 가이드'
√ 벤처캐피털회사 대표, 금감원 前 복합금융감독국장이 10여 년간 금융/경제서 29종 저술한 끝에, 작정하며 써 내려간 ‘금융투자 사용설명서’
★금융투자자라면 초보부터 마스터까지 투자를 새롭게 할 '금융투자 필독서'
★선량한 사람들을 위한 최소한의 '금융투자 가이드'
√ 벤처캐피털회사 대표, 금감원 前 복합금융감독국장이 10여 년간 금융/경제서 29종 저술한 끝에, 작정하며 써 내려간 ‘금융투자 사용설명서’
투자의 시대, ‘투자의 시간’을 생각한다
투자는 알고 보면 학교 공부나 직업보다 더 중요한 일이다. 특정 직업은 시험 성적이 좋아야 가질 수 있지만 투자는 그런 제약이 없다.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잘하지 못했을지라도 얼마든지 투자를 잘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직업에 따라 월급이나 버는 돈이 다른 건 사실이지만 투자 실력이 좋으면 그까짓 차이는 순식간에 뒤집을 수 있다. 투자로 돈을 늘리는 건 그래서 중요하다.
이토록 중요한 투자를 왜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지 실로 궁금하다. 투자에 소질이 있는 걸 어려서부터 발견할 수 있다면 다른 공부할 필요 없이 투자에만 집중하는 게 더 낫다. 비근한 예로 요즘은 아이돌이나 연기자로 뽑힐 재능이 있으면 고등학교나 중학교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초등학교도 중간에 그만두고 일에 몰두한다. 야구 선수도 실력만 되면 대학을 가지 않고 곧바로 프로 선수가 되는 게 일반적인 경로다.
물론 금수저로 태어났다면 이 모든 게 필요치 않다. 공부가 안돼도, 또 투자를 못 해도 잘 먹고 잘사는 데 걸리적거릴 게 없다. 금수저가 아니라면 이야기는 다르다. 제아무리 개천에서 난 용이 되어 남들이 부러워할 직업을 가져도 그것만으로 금수저를 따라잡을 길은 막막하다. 투자가 아니고서는 달리 대안이 없다.
투자를 가르치지 않는 건 성인이 되어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학에 가더라도 투자를 저절로 배우게 되지는 않는다. 주로 1학년 때 듣는 교양 필수 과목에 투자 과목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까? 있을 리 없다. 영어, 글쓰기, 토론, 코딩 정도만 있을 뿐이다.
대학에서 투자를 배우는 게 전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다. 경영학과에 가면 아예 과목명에 투자가 나오는 게 있다. 이름하여 ‘투자론’이다. 전공 필수는 아니고 전공 선택 과목인 투자론은 보통 3학년 학생이 듣는다. 경제학과도 투자론을 가르치기는 한다. 다만 과목 이름이 금융경제학 혹은 재무경제학으로 바뀌어 불린다. 내용은 경영학과의 투자론과 거의 같다. 다른 과 학생도 이런 과목을 듣고자 하면 들을 수는 있다.
투자론을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배우면 알게 되는 사실이 있다. 곰탕에 곰이 없고 칼국수에 칼이 들지 않은 것처럼 투자론에 투자의 정의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일례로 즈비 보디, 알렉스 케인, 앨런 마커스가 함께 쓴 표준적인 투자론 교재의 색인을 아무리 찾아봐도 투자라는 단어는 안 나온다. 또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의 마크 루빈스타인이 쓴 《투자이론사》도 그 색인에서 투자를 찾을 수 없다. 마치 “투자가 무엇인지는 말 안 해도 알잖아?” 하는 식이다. (1장 ‘투자는 가격이 오를 자산을 사는 행위’ 중에서)
투자는 알고 보면 학교 공부나 직업보다 더 중요한 일이다. 특정 직업은 시험 성적이 좋아야 가질 수 있지만 투자는 그런 제약이 없다.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잘하지 못했을지라도 얼마든지 투자를 잘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직업에 따라 월급이나 버는 돈이 다른 건 사실이지만 투자 실력이 좋으면 그까짓 차이는 순식간에 뒤집을 수 있다. 투자로 돈을 늘리는 건 그래서 중요하다.
이토록 중요한 투자를 왜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지 실로 궁금하다. 투자에 소질이 있는 걸 어려서부터 발견할 수 있다면 다른 공부할 필요 없이 투자에만 집중하는 게 더 낫다. 비근한 예로 요즘은 아이돌이나 연기자로 뽑힐 재능이 있으면 고등학교나 중학교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초등학교도 중간에 그만두고 일에 몰두한다. 야구 선수도 실력만 되면 대학을 가지 않고 곧바로 프로 선수가 되는 게 일반적인 경로다.
물론 금수저로 태어났다면 이 모든 게 필요치 않다. 공부가 안돼도, 또 투자를 못 해도 잘 먹고 잘사는 데 걸리적거릴 게 없다. 금수저가 아니라면 이야기는 다르다. 제아무리 개천에서 난 용이 되어 남들이 부러워할 직업을 가져도 그것만으로 금수저를 따라잡을 길은 막막하다. 투자가 아니고서는 달리 대안이 없다.
투자를 가르치지 않는 건 성인이 되어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학에 가더라도 투자를 저절로 배우게 되지는 않는다. 주로 1학년 때 듣는 교양 필수 과목에 투자 과목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까? 있을 리 없다. 영어, 글쓰기, 토론, 코딩 정도만 있을 뿐이다.
대학에서 투자를 배우는 게 전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다. 경영학과에 가면 아예 과목명에 투자가 나오는 게 있다. 이름하여 ‘투자론’이다. 전공 필수는 아니고 전공 선택 과목인 투자론은 보통 3학년 학생이 듣는다. 경제학과도 투자론을 가르치기는 한다. 다만 과목 이름이 금융경제학 혹은 재무경제학으로 바뀌어 불린다. 내용은 경영학과의 투자론과 거의 같다. 다른 과 학생도 이런 과목을 듣고자 하면 들을 수는 있다.
투자론을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배우면 알게 되는 사실이 있다. 곰탕에 곰이 없고 칼국수에 칼이 들지 않은 것처럼 투자론에 투자의 정의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일례로 즈비 보디, 알렉스 케인, 앨런 마커스가 함께 쓴 표준적인 투자론 교재의 색인을 아무리 찾아봐도 투자라는 단어는 안 나온다. 또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의 마크 루빈스타인이 쓴 《투자이론사》도 그 색인에서 투자를 찾을 수 없다. 마치 “투자가 무엇인지는 말 안 해도 알잖아?” 하는 식이다. (1장 ‘투자는 가격이 오를 자산을 사는 행위’ 중에서)


투자의 시간 : 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위한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