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현충원에 묻힌 이야기

대전현충원에 묻힌 이야기

$30.00
Description
대전현충원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이 묻힌 국립묘지다.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묘지 안장 10만 106위, 위패봉안 4만 1,365위, 충혼당 봉안 4,949위, 무명용사 유골함 33위 등 대전현충원에는 총 14만 6,443위가 모셔져 있다. 국립묘지에 모셔진 이들의 삶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게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김선재·임재근·정성일은 대전현충원 평화둘레길 행사를 비롯해 단체와 방문객들이 요청해 올 때 해설을 맡아왔다. 그러던 중 그간 활동해왔던 해설 경험을 바탕으로 대전현충원에 묻힌 이들의 삶과 그들이 꿈꿨던 세상을 더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고자 2023년 9월부터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써서 ‘대전현충원에 묻힌 이야기’라는 이름으로 연재를 했고, 이 책은 1년간 연재한 글을 엮은 것이다.
대전현충원에는 15만 명에 가까운 인물들이 모셔져 있지만, 그 중 이 책에 언급된 인물은 300여명 정도다. 책을 읽다보면 홍범도, 손기정, 곽낙원 등 잘 알려진 이름도 보이지만, 낯선 이름도 종종 눈에 띤다. 서장에서는 대전현충원의 역사와 개요를 설명하고, 1장 ‘독립운동’에서는 우리가 미처 몰랐던 독립 영웅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2장 ‘군사반란’에는 군인 본분을 다한 참 군인과 얼룩진 삶을 산 기회주의자와 반란군 등 여러 군인 이야기가 등장한다. 3장 ‘국가폭력과 사회적 참사’에는 제주4·3과 여순사건, 군의문사, 세월호 참사 등 한국 현대사 여러 비극을 주목하며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인물을 소개한다. 마지막 4장 ‘사회공헌’에는 자신보다 남을 위해 희생 헌신한 과학자, 소방관, 체육인의 삶이 담겨 있다.

저자

김선재,임재근,정성일

저자:김선재
KAIST기계공학과를졸업한후진로를바꾸어비영리민간단체및진보정당에서활동했다.현재진보당대전시당부위원장겸유성구위원장을맡고있고,오마이뉴스시민기자,대전현충원해설사활동을병행하고있다.2016년제1회반헌법행위자웹콘텐츠공모전에서대전현충원을주제로대상을받았고,2024년오마이뉴스‘올해의뉴스게릴라상’을수상했다.

저자:임재근
KAIST산업경영학과를졸업한후전공을바꾸어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한국전쟁과민간인학살로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사)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교육연구소장으로일하고있고,공주대학교와목원대학교에서북한및한반도평화와통일과관련된강의를하고있다.성공회대민주자료관연구교수와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집행위원장도맡고있다.주요저서로(공저)『살아있는근현대교과서-국립대전현충원』(2021),(공저)『철도,대전의근대를열다』(2023)가있다.

저자:정성일
KAIST기계공학과를졸업한후충남대사회학과를졸업했다.그리고충남대평화안보대학원에서국제학으로석사학위를받았다.현재(사)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에서기획홍보팀장및유튜브‘대전통’PD로일하고있고,2022년에는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전문위원으로활동했다.저서로는(공저)『‘광주밖’전국의5·18진상』(2024)이있다.

목차

|저자가전하는글|미래의물줄기를보다나은방향으로4
|추천하는글|한홍구(성공회대석좌교수)6
|추천하는글|김학규(현충원역사산책저자)8
|추천하는글|심규상(오마이뉴스기자)10

서장국립묘지대전현충원
대전현충원묘역과묘비톺아보기18
대전현충원에2기의민간인묘지26
장군1묘역만의안장규칙31

제1장독립운동
현충원에서재회한봉오동의주역들40
봉오동독립운동터닦은최진동과4인의투사들51
홍범도장군유해대전현충원안장의불편함60
민족대표33인중대전현충원안장된유일한인물69
120년전의대생들의남다른선택75
사촌누나희롱한일본인,그를향해달려든16살87
일제강점기목숨걸고우리말과글을지킨사람들97
대전현충원으로이장된수유리광복군17위105
고주리순국선열,화성에서대전현충원으로이장111
제주해녀들이대전현충원에잠들어있다116
대전3·1만세운동의주역들,고향에묻히다124
함께독립운동에나선부부들130
돌고돌아고국왔지만나란히묻히지못했다137
독립운동에한평생바친성균관대창립자145
을미의병의효시문석봉154
한국의잔다르크정정화지사163
박정희도두려워했던독립운동가172
친일판사와애국지사의불편한동거178
파묘된자들186
김구암살배후자,그가대전현충원에묻혀있다190
‘간도특설대’출신이대전현충원에8명이나안장202
이땅의독립운동가에게는세가지죄가있다210

제2장군사반란
무너진민주주의와지방자치222
양지바른곳에묻힌그날의반란군들228
12·12이후비극적이었던진압군들의삶240
이등병강등이라는수모를겪은육군대장248
육사11기전두환은왜반란에선배들을끌어들였나255
자신의상관이아닌전두환을따른이들262
진압군을도청한반란군이바로옆에잠들어270
자국민학살에나선장군과명령을거부한장군278
반란죄,내란죄,뇌물죄로얼룩진보훈의성지284
대전현충원에아직남아있는전두환의흔적들289

제3장국가폭력과사회적참사
4·3총살명령한자와거부한자298
제주4·3진압책임자들이대전현충원에305
1948년여순에서벌어진잔혹한학살이야기317
인혁당사건‘가해자’안장된국가사회공헌자묘역325
군의문사희생자박정훈이교331
심규환상병의문사사건338
손철호소위·이승원일병의문사사건이야기345
대전현충원의민주화운동희생자①박성은열사356
민주화운동희생자②최온순열사361
민주화운동희생자이승삼·이진래·정연관열사369
세월호순직교사5명의이야기378
선생님이남긴마지막메시지386
4명의선원,5명의소방관,그들은비겁하지않았다395
‘세월호유족사찰’기무사령관,대전현충원에402

제4장사회공헌유공자
한국과학기술위해평생을바친이들410
어디든달려가사람살리고떠난이들417
영화<1947보스톤>주인공손기정(1)426
영화<1947보스톤>주인공손기정(2)435

출판사 서평

대전현충원은국가를위해헌신한이들이묻힌국립묘지다.2024년6월30일기준으로묘지안장10만106위,위패봉안4만1,365위,충혼당봉안4,949위,무명용사유골함33위등대전현충원에는총14만6,443위가모셔져있다.국립묘지에모셔진이들의삶은현재를살아가고있는이들에게는많은생각을하게한다.
김선재·임재근·정성일은대전현충원평화둘레길행사를비롯해단체와방문객들이요청해올때해설을맡아왔다.그러던중그간활동해왔던해설경험을바탕으로대전현충원에묻힌이들의삶과그들이꿈꿨던세상을더많은이들에게전달하고자2023년9월부터오마이뉴스에기사를써서‘대전현충원에묻힌이야기’라는이름으로연재를했고,이책은1년간연재한글을엮은것이다.
대전현충원에는15만명에가까운인물들이모셔져있지만,그중이책에언급된인물은300여명정도다.책을읽다보면홍범도,손기정,곽낙원등잘알려진이름도보이지만,낯선이름도종종눈에띤다.서장에서는대전현충원의역사와개요를설명하고,1장‘독립운동’에서는우리가미처몰랐던독립영웅이야기를전하고있다.2장‘군사반란’에는군인본분을다한참군인과얼룩진삶을산기회주의자와반란군등여러군인이야기가등장한다.3장‘국가폭력과사회적참사’에는제주4·3과여순사건,군의문사,세월호참사등한국현대사여러비극을주목하며대전현충원에안장된인물을소개한다.마지막4장‘사회공헌’에는자신보다남을위해희생헌신한과학자,소방관,체육인의삶이담겨있다.

<서평>

김선재·임재근·정성일의《대전현충원에묻힌이야기》의발간이무척이나반갑다.저자중두분과는나름깊은인연이있는처지이기에더더욱반갑다.임재근박사는민간인학살로박사학위를받은이분야의보기드문연구자이지만,대전지역에서근20년시민활동가로살아오다가그것도모자라최근에는아예단체를만들어살림까지맡아하고있다.나역시연구자이지만단체활동에많은힘을쏟아온처지라임재근이름석자만들어도마음이짠하다.김선재위원장은아직학생이었던시절,내가책임편집인으로있는반헌법행위자열전편찬위원회에서개최한2016년제1회반헌법행위자웹콘텐츠공모전에서대상을받았는데,작품의주제는대전현충원묘비명으로대전현충원의반헌법행위자들을아주충실히조사한수작이었다.정성일팀장까지필자세사람은모두KAIST출신의과학도였다.그런특별한경력을가진세사람이모두대전지역의진보진영에서밑바닥활동을하면서이런훌륭한책을냈다는사실이놀랍고또고맙기짝이없다.원고를받아보고쭉읽어가면서느낀점은필자세분이정말로대전과대전현충원을사랑한다는점이었다.서울에서언론매체를통해대전현충원을접하게되는경우의대부분은김창룡등친일과독재의흑역사를갖고있는자들의묘를대전현충원에서이장해야한다는기사같은것들이었다.더구나대전현충원묘비명으로상을받은김선재위원장도필자로참여하고있어,책의내용은당연히친일과국가폭력과독재관련자들에대한고발이주를이룰것으로지레짐작했다.나역시강연이나수업에서우리가살고있는대한민국에서반드시바로잡아야할모순으로백범을낳아주고길러주신곽낙원지사와백범의큰아들김인지사의묘에서얼마떨어지지않은곳에백범암살의배후였던김창룡의묘가자리잡고있고있다는사실을자주거론했었다.《대전현충원에묻힌이야기》는이런부정적인사례보다는나라를찾기위해몸바쳤던애국지사들,제주4·3사건당시총살명령을거부했던용기있던경찰과광주항쟁에대해유혈진압명령을거부했던양심적인지휘관들,세월호사건당시희생된선생님들,그리고어디든달려가사람들을살리고떠난소방관들의이야기가담겨있다.특히군복무중녹화사업을비롯한여러가지이유로의문의죽음을당한분들의이야기도여러편담겨있다.군의문사희생자들의묘를대전현충원에서만날수있다는것은한국사회가한발씩한발씩민주주의를향해나아가고있다는것을보여준다.사실국민내지는국가를위해희생한분들뿐만아니라국가에의해희생된분들도같이모셔져야하는공간이다.대전현충원에묻힌10만여분들중에사연없는분들이어디있으리오만은,책제목의‘묻힌’은꼭땅에묻힌것이아니라우리옆에있으나잘알려지지않은채묻혀버린이야기를끄집어냈다는중의적인의미로다가온다.《대전현충원에묻힌이야기》를손에들고나부터다시한번대전현충원을찾아야겠다.
-한홍구(성공회대석좌교수,반헌법행위자열전편찬위원회책임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