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펜(GreenPen)
저자:그린펜(GreenPen)
기후변화와환경기사를쓰는기자들의모임
강한들
경향신문기자.J(계획형)이지만우연의힘을믿는다.처음배치된부서에서우연히기후·환경을취재하면서기후위기보도에대한무거운책임감을느끼게됐다.제대로알리지못하면,우리모두돌이킬수없는피해를받을까걱정하며산다.문제해결도우연히이책으로만날독자들과함께라면가능할거라고낙관하고싶다.
김현종
한국일보기자.2021년기후대응팀에서처음환경을취재했다.기업의플라스틱감축의무,도시탄소중립,그린워싱관련기획기사에참여했다.정부,기업,소상공인,농어민,국제사회등온갖이해관계자를어떻게조정해야인류가공멸을피할수있을지고민한다.여름에결국에어컨을찾는내모순에대해서도생각만많이한다.
박유빈
세계일보기자.정부가‘2050년넷제로’를선언한직후인2021년환경분야를취재하며이분야에관심이커졌다.그해제26차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현장취재를가보니기후문제에열정적인사람이많아놀랐다.앞으로가야할길이멀다고느끼지만지금이자리에서할수있는일은해보자고생각하는시민이고싶다.
변상근
전자신문기자.5년동안에너지산업과기술,정책에대해취재했다.국내와프랑스,덴마크,미국등해외의에너지산업현장을방문하며당면한기후위기문제를고민했다.“우리가지구를지킬때,지구가우리를지킨다.”라는말을믿는다.기후위기와에너지전환에대해조금이나마쉽게풀어내기위해고민하고있다.
신혜정
한국일보기자.몽상가로태어났지만조금은현실적인사람이되고자기자가됐다.현재미래기술탐사부에서기후와과학,기술에대해취재하고있다.기후위기해결책을전달하고,그린워싱을파헤치는데관심이많다.틈새를들춰내는기사,시민참여를끌어내는콘텐츠를만들기위해노력한다.
양진영
현한국풍력산업협회팀장.전전기신문기자.책집필중에는재생에너지담당기자였으나산업현장과더가까운곳에서재생에너지의발전을돕고자10년간의기자생활을마감하고최근이직했다.하나의풍력발전기가돌기까지정치,경제,산업적으로풀어야할문제가많았다.이문제를쉽게풀어시민들에게잘설명해야하는고민은기자때와다름이없다.
조수빈
뉴스핌기자.학부에서영어를전공하며언어에담긴힘을믿기시작했다.2020년부터대학·스타트업을취재하다국내최초ESG전문매체인한경ESG의창간멤버로합류하면서지구와우리의미래에대해처음쓰기시작했다.지금은자동차와철강,조선등탄소배출량이많은산업의이야기를쓰느라마음이따끔거릴때가있다.환경이야기를하는것이‘유난스럽지않은’세상을꿈꾼다.
주소현
헤럴드경제기자.2022년산업부에서석유화학과에너지산업을취재했다.2023~2024년에는‘지구,뭐래?’라는연재기사를썼다.인간과지구의‘억년해로’를꿈꾼다.기후환경문제를고민하는시민들이영역을넓히는데에기사와책으로힘을보태고싶다.최근에는관련입법및정책등정치에서해법을구하고있다.
최우리
한겨레기자.과학저널리즘대학원석사과정을졸업했다.환경과동물,에너지와경제,국제뉴스를주로쓴다.책《지구를쓰다가》,《달콤한나의도시양봉》,공저《인권으로살펴본기후위기이야기》등을썼다.별과꽃과바다,그리고복잡한갈등을풀어가는것을좋아한다.믿고보는과학저널리스트이고싶다.
황덕현
뉴스1기후환경전문기자.학부에서대기환경과학을전공하고기후변화·에너지융합기술박사과정을수료했다.사회부와산업부등을거쳤다.기후변화언론인상,기상청장표창을받았다.뉴스1‘황덕현의기후한편’,기자협회‘이슈인사이드,환경’을연재중이다.모두에게더나은세상을꿈꾸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