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몸을 낮추어 땅과 가까워질 때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들
: 현대 도시인들의 삶에서 정원과 자연이 갖는 의미를 찾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들
: 현대 도시인들의 삶에서 정원과 자연이 갖는 의미를 찾다
“그렇게 4년 남짓 적어온 이야기를, 외로웠지만 찬란했던 시간들을 나누고자 마음먹었던 계기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었다. (…) 개인 정원이 없는 이들은 조금이나마 숨쉴 곳을 찾아 공원으로 모였다. 일정한 간격으로 동그라미를 쳐놓고 관람객들 간의 거리를 표시한 공원의 모습은 애처로우면서도 그 어느 때보다 초록빛으로 빛났다. 실내식물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이 팔렸고 도시의 사람들은 목이 말라 우물을 찾듯 식물을 찾았다. 정원은 정원 있는 집에 사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모두에게 필요한 안식처였다.”(252~53면)
『정원 읽기: 영국에서 정원 디자이너로 살아가기』는 정원 디자이너이자 도시 계획 연구자인 김지윤이 영국에서 정원을 공부하고 다양한 현장에서 일한 경험을 풀어 쓴 책이다. 작가는 서울대에서 조경과 건축을 전공하고 졸업 후 한국에서 회사 생활을 하던 중 정원 공부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영국 남동부의 소도시 첼름스퍼드로 떠난다. 그리고 그곳의 작은 학교 리틀유니버시티칼리지에서 정원 디자인을 공부하며 영국 정원의 세계로 발을 디딘다.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작가에게 영국 소도시의 자연은 낯설었다. 하지만 현대적인 시설을 자랑하는 영미권의 몇몇 대학을 제쳐두고 일부러 이곳을 고른 것은 바로 자연 그대로의 풍경 속에서 정원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시골 생활의 낯섦뿐 아니라 영국 특유의 음울한 날씨 또한 그를 괴롭지만 그 쓸쓸한 계절에도 따듯함이 배어나는 순간을 포착해낸다. “이른 아침 부지런히 나가야만 볼 수 있는 하얗게 내려앉은 서리는 습도가 높은 영국의 겨울에 볼 수 있는 보석 같은 순간”임을 깨우치며 “어둑하고 흐릿한 겨울을 보내고 나니 왜 영국이 이토록 정원 문화가 발달할 수 있었는지 자연스레 깨닫게”(23~24면) 된다.
리틀칼리지의 느릿하고 소박한 일상에 차츰 적응해가면서 작가는 지난 20여 년간 누려왔던 현대사회의 속도와 욕구를 되돌아본다. “캠퍼스에서의 생활 1년은 그간 잊고 지내던 감각을 일깨우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주위의 살아 있거나 살아 있지 않은 것들, 특히 식물을 온 몸의 감각으로 느끼는 경험은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게 해주었다.”(18면)
영국 유학은 작게는 작가의 정원에 대한 관점을, 크게는 그의 세계관 자체를 바꿔놓았다. 그는 리틀칼리지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곧이어 런던의 조경 스튜디오에 디자이너로 입사한다. 그곳에서 여러 다채로운 정원 현장을 섭렵하고 현대사회에서 정원이 미치는 영향과 인간이 가진 정원에 대한 관점을 돌아본다.
현대 도시에서 자연환경이 가진 역할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매일 만나는 흙, 풀, 꽃, 나무를 단지 자기 삶의 배경으로서만 인식한다. “계절이 어떻게 변해 어떤 식물이 새로 피어나는지, 아침빛은 어떤 온도와 색을 띠는지 알아차릴 겨를”(34면)이란 없다. 작가는 이 같은 현실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는다. 바로 사람들이 매일 이용하는 생활공간을 정원으로 만들 고민을 시작한 것이다.
이 책 전반에서 작가는 사람들의 일상에서 자연의 비중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한다. 그는 리틀칼리지 졸업전시를 준비하면서, 첼시 피직 가든의 봉사자로 지내면서, 에밀리와 존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영국 곳곳의 정원 전시회를 꼼꼼히 살피면서, 서울 대도심 한복판에 한국 전통의 방지원도를 구현하면서, 단순히 실무자로서의 정원 디자이너가 아니라 우리 삶 전반을 돌아보게 해주는 자연의 연결자로 자처한다.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고자 분투하는 작가의 노력이 미덥다.
『정원 읽기: 영국에서 정원 디자이너로 살아가기』는 정원 디자이너이자 도시 계획 연구자인 김지윤이 영국에서 정원을 공부하고 다양한 현장에서 일한 경험을 풀어 쓴 책이다. 작가는 서울대에서 조경과 건축을 전공하고 졸업 후 한국에서 회사 생활을 하던 중 정원 공부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영국 남동부의 소도시 첼름스퍼드로 떠난다. 그리고 그곳의 작은 학교 리틀유니버시티칼리지에서 정원 디자인을 공부하며 영국 정원의 세계로 발을 디딘다.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작가에게 영국 소도시의 자연은 낯설었다. 하지만 현대적인 시설을 자랑하는 영미권의 몇몇 대학을 제쳐두고 일부러 이곳을 고른 것은 바로 자연 그대로의 풍경 속에서 정원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시골 생활의 낯섦뿐 아니라 영국 특유의 음울한 날씨 또한 그를 괴롭지만 그 쓸쓸한 계절에도 따듯함이 배어나는 순간을 포착해낸다. “이른 아침 부지런히 나가야만 볼 수 있는 하얗게 내려앉은 서리는 습도가 높은 영국의 겨울에 볼 수 있는 보석 같은 순간”임을 깨우치며 “어둑하고 흐릿한 겨울을 보내고 나니 왜 영국이 이토록 정원 문화가 발달할 수 있었는지 자연스레 깨닫게”(23~24면) 된다.
리틀칼리지의 느릿하고 소박한 일상에 차츰 적응해가면서 작가는 지난 20여 년간 누려왔던 현대사회의 속도와 욕구를 되돌아본다. “캠퍼스에서의 생활 1년은 그간 잊고 지내던 감각을 일깨우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주위의 살아 있거나 살아 있지 않은 것들, 특히 식물을 온 몸의 감각으로 느끼는 경험은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게 해주었다.”(18면)
영국 유학은 작게는 작가의 정원에 대한 관점을, 크게는 그의 세계관 자체를 바꿔놓았다. 그는 리틀칼리지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곧이어 런던의 조경 스튜디오에 디자이너로 입사한다. 그곳에서 여러 다채로운 정원 현장을 섭렵하고 현대사회에서 정원이 미치는 영향과 인간이 가진 정원에 대한 관점을 돌아본다.
현대 도시에서 자연환경이 가진 역할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매일 만나는 흙, 풀, 꽃, 나무를 단지 자기 삶의 배경으로서만 인식한다. “계절이 어떻게 변해 어떤 식물이 새로 피어나는지, 아침빛은 어떤 온도와 색을 띠는지 알아차릴 겨를”(34면)이란 없다. 작가는 이 같은 현실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는다. 바로 사람들이 매일 이용하는 생활공간을 정원으로 만들 고민을 시작한 것이다.
이 책 전반에서 작가는 사람들의 일상에서 자연의 비중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한다. 그는 리틀칼리지 졸업전시를 준비하면서, 첼시 피직 가든의 봉사자로 지내면서, 에밀리와 존의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영국 곳곳의 정원 전시회를 꼼꼼히 살피면서, 서울 대도심 한복판에 한국 전통의 방지원도를 구현하면서, 단순히 실무자로서의 정원 디자이너가 아니라 우리 삶 전반을 돌아보게 해주는 자연의 연결자로 자처한다.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고자 분투하는 작가의 노력이 미덥다.


정원 읽기 : 영국에서 정원 디자이너로 살아가기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