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와 권세 : 전체주의 공포와 기능장애에 빠진 민주국가들에서 기독교의 정치적 증언

예수와 권세 : 전체주의 공포와 기능장애에 빠진 민주국가들에서 기독교의 정치적 증언

$20.00
Description
최근 전세계적으로 많은 민주국가들에서 민주주의의 장점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오히려 민주주의의 단점이 노출되면서 그것을 이용해 독재와 전체주의 공포가 확산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1987년 이후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온 우리나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지난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난데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다행히도 국회에 의해 곧바로 비상계엄이 해제되긴 했지만, 그 이후 진행되는 과정이 결코 녹록치 않음을 온몸으로 겪고 있는 중이다. 이런 와중에서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정치적 격변과 혼란의 때에 우리 기독교와 교회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근대 이후 기독교와 정치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이념이 대두하면서, 기독교는 정치적 사안과 문제들에 거리를 두게 되었다. 그 결과 기독교는 오늘날 부상하고 있는 새롭고도 다양하며 복잡한 정치적 문제들에 대해 성경적으로 증언하는 능력을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 반대로 극우적 입장과 맥을 같이 하는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저명한 신약학자들인 톰 라이트와 마이클 버드는 이 책 〈예수와 권세〉를 통해, 오늘날 대두하는 기능장애에 빠진 민주국가들에서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매우 적절하면서도, 우리의 신앙과 삶을 깨우치는 탁월한 대답을 제공한다.
저자들이 밝히듯이, 이 책은 목표는 하나이다. 그것은 독재 정권들이 득세하며, 공포와 분열이 조장되고, 대학살과 위기가 자행되는 한 가운데서도, 여전히 예수가 왕이시고, 예수의 나라만이 교회가 증언하는 내용이자 사역의 목적임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도, 내일도, 그다음 날도 사실이고, 죽음과 독재자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그분이 모든 원수를 자기 발 아래에 두실 때”(고전15:25)까지 변치 않을 사실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의 모든 권력과 권세가 하나님께서 그분의 뜻을 세상에 임하게 하시고자 그들에게 위임하신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들은, 하나님은 이러한 위임에서 멈추지 않으시고, 하나님 나라를 증거하는 교회로 하여금 그 세상의 권력과 권세가 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성령의 능력과 인도를 따라 그들에게 거울을 들이대고 책임을 묻는 사명을 주셨다고 말하고 있다.

아래는 이 책의 〈서문〉 중 일부를 발췌한 글이다.
“이 책은 먼저 우리 시대의 정치적 격변과 신흥 제국들에 주목한다. 그다음 예수와 그 제자들이 로마 제국의 전성기에 어떤 식으로 역사의 무대에 등장했고, 제국이 만들어낸 여러 위험한 상황을 어떻게 넘어서야 했는지 설명한다(1장). 그 후 제국의 위협 아래 있던 교회가 제국이 제공하는 많은 혜택을 누리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했던 상황을 지적한다. 교회가 황제들과 맺은 관계, 중세의 왕과 군주들과 맺은 관계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여러 복잡한 문제를 만들어냈고, 이 문제에 관해서는 오늘날의 우리도 자유롭지 않다. … 하지만 역사적으로 교회가 그 어떤 선한 일과 나쁜 일 또는 추한 일을 했건, 정치에서 뒤로 물러날 수는 없다. 우리가 권력을 향해 진리를 말하고 권세에 맞서려면, 정치권력의 일을 사용하여 하나님 나라의 일을 해야 한다(2장).
‘권세’라는 주제의 경우, 이는 성경 이야기에서 영적, 정치적 세력들이 역사의 태피스트리를 가로질러 교차하면서 크게 다가온다. 바울의 골로새서와 특히 요한복음을 보면, 이 시대의 권세가 예수로 말미암아 제압되고 화해를 이룰 것임을 알 수 있다. … 기독교인은 권력을 향해 진리를 말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고, 정의로운 통치가 이루어지는지 지켜보면서 통치가 정의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고, 통치 당국이 하나님이 기대하시는 임무를 이행하게 만들어야 한다(3장).
그리고 자연스럽게 그 지점에서, 더 나아가 무섭고 위험천만한 곳이 되어가는 이 세상에서, 어떻게 하나님 나라 건설에 기여할 것이냐는 주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하나님 나라는 이 세상에서 나온 것은 아니지만, 이 세상을 위한 것이 너무나 분명하기에 그 나라의 사명을 받은 우리는 세상에서 물러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 건설에 기여하는 실제적 방안들을 몇 가지 제안한다(4장). 그다음으로 우리는 통치 당국에 대한 복종이라는 주제(5장)와 기독교적 증언을 위해 통치 당국에 적극적으로 불복종해야 할 때(6장)를 다룬다. 이 둘은 어렵고 복잡한 주제이다. 하지만 우리는 정부의 선함을 긍정하는 일만큼이나 정부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서 약탈적 폭정으로 퇴행할 경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일에도 관심이 있다.
끝으로, 우리는 자유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논증을 제시한다. 우리는 ‘자유민주주의’가 말하는 그 ‘자유’에 힘입어 기독교인임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정확히 기독교인으로서 정치적, 문화적 성향이 다른 이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다. 그 어떤 문제도 간단하지 않으며, 다양성은 갈등을 낳을 수밖에 없지만, 우리는 좌파 이웃도 우파 이웃도 모두 사랑하고, 신앙의 종류나 그 유무와 관련 없이 모든 사람을 위해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하도록 부름을 받았다(7장).”

저자

톰라이트,마이클F.버드

저자:톰라이트(TomWright)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신약학및초기기독교역사명예연구교수이자옥스퍼드대학교위클리프홀선임연구원이다.『모든사람을위한하나님나라신약성경(TheNewTestamentforEveryone)』,『톰라이트와함께하는기독교여행(SimplyChristian)』,『마침내드러난하나님나라(SurprisedbyHope)』(이상IVP),『혁명이시작된날(TheDaytheRevolutionBegan)』,『바울평전(Paul:ABiography)』,『신약성경과그세계(TheNewTestamentinItsWorld)』(마이클버드공저,이상비아토르)와IntotheHeartofRomans등80권이넘는영향력있는책들을저술했다.

저자:마이클F.버드(MichaelF.Bird)
호주리들리대학의부학장이고강의도맡고있다.신약성서와신약신학에대한다수의학술서와대중서를집필했다.ABird-EyeViewofLukeandActs,EvangelicalTheology,JesusamongtheGods를냈고,『신약성경과그세계(TheNewTestamentinItsWorld)』(비아토르)를톰라이트와공저했다.

역자:홍종락
서울대학교언어학과를졸업했고,현재전문번역가로활동하고있다.저서로는『C.S.루이스의인생책방』,『악마의눈이보여주는것』(이상비아토르),『오리지널에필로그』,『나니아나라를찾아서』(이상홍성사)가있으며,역서로는『세이빙다빈치』,『올댓바이블』,『경이로운세상에서』,『잘산다는것』,『영적가면을벗어라』(이상복있는사람),『영광의무게』,『피고석의하나님』(이상홍성사),『사랑과정의』,『한나의아이』(이상IVP),『어둠속의비밀』,『빛이드리운자리』(이상비아토르)등이있다.2009년‘CTK(크리스채너티투데이한국판)번역가대상’과2014년한국기독교출판협회선정‘올해의역자상’을수상했다

목차

추천의글5
서문13
추신21
약어표23

1장제국의그늘에서태어난예수의나라25
2장예수와카이사르사이의교회63
3장초기기독교의권력과‘권세’:요한,바울,그리고성경적정치의역설87
4장비전과소명으로서의하나님나라141
5장복종과전복사이의교회187
6장오늘날의권세에저항하는교회217
7장공포와분열의시대에서자유주의와사랑261
8장결론299

성경본문과고대문서색인309
인명색인317

출판사 서평

최근전세계적으로많은민주국가들에서민주주의의장점이제대로기능하지못하고,오히려민주주의의단점이노출되면서그것을이용해독재와전체주의공포가확산되는흐름이나타나고있다.이는1987년이후민주주의를발전시켜온우리나라에서도예외는아니다.우리는지난2024년12월3일,윤석열대통령이난데없이(?)비상계엄을선포하는것을지켜보았다.다행히도국회에의해곧바로비상계엄이해제되긴했지만,그이후진행되는과정이결코녹록치않음을온몸으로겪고있는중이다.이런와중에서우리는기독교인으로서질문하지않을수없다.“이와같은정치적격변과혼란의때에우리기독교와교회는무엇을,어떻게해야할까?”

근대이후기독교와정치는분리되어야한다는이념이대두하면서,기독교는정치적사안과문제들에거리를두게되었다.그결과기독교는오늘날부상하고있는새롭고도다양하며복잡한정치적문제들에대해성경적으로증언하는능력을상실한것처럼보인다.반대로극우적입장과맥을같이하는교회와기독교인들은급격히증가하고있다.이런상황에서저명한신약학자들인톰라이트와마이클버드는이책<예수와권세>를통해,오늘날대두하는기능장애에빠진민주국가들에서교회와기독교인들이무엇을,어떻게해야할지에대해매우적절하면서도,우리의신앙과삶을깨우치는탁월한대답을제공한다.
저자들이밝히듯이,이책은목표는하나이다.그것은독재정권들이득세하며,공포와분열이조장되고,대학살과위기가자행되는한가운데서도,여전히예수가왕이시고,예수의나라만이교회가증언하는내용이자사역의목적임을말하는것이다.이것은오늘도,내일도,그다음날도사실이고,죽음과독재자가더이상존재하지않을때까지,“그분이모든원수를자기발아래에두실때”(고전15:25)까지변치않을사실이라는것이다.

우리는세상의모든권력과권세가하나님께서그분의뜻을세상에임하게하시고자그들에게위임하신것임을잘알고있다.그런데이책의저자들은,하나님은이러한위임에서멈추지않으시고,하나님나라를증거하는교회로하여금그세상의권력과권세가이를잘수행할수있도록성령의능력과인도를따라그들에게거울을들이대고책임을묻는사명을주셨다고말하고있다.

아래는이책의<서문>중일부를발췌한글이다.

“이책은먼저우리시대의정치적격변과신흥제국들에주목한다.그다음예수와그제자들이로마제국의전성기에어떤식으로역사의무대에등장했고,제국이만들어낸여러위험한상황을어떻게넘어서야했는지설명한다(1장).그후제국의위협아래있던교회가제국이제공하는많은혜택을누리는쪽으로방향을전환해야했던상황을지적한다.교회가황제들과맺은관계,중세의왕과군주들과맺은관계는교회와국가의관계에여러복잡한문제를만들어냈고,이문제에관해서는오늘날의우리도자유롭지않다.…하지만역사적으로교회가그어떤선한일과나쁜일또는추한일을했건,정치에서뒤로물러날수는없다.우리가권력을향해진리를말하고권세에맞서려면,정치권력의일을사용하여하나님나라의일을해야한다(2장).

‘권세’라는주제의경우,이는성경이야기에서영적,정치적세력들이역사의태피스트리를가로질러교차하면서크게다가온다.바울의골로새서와특히요한복음을보면,이시대의권세가예수로말미암아제압되고화해를이룰것임을알수있다.…기독교인은권력을향해진리를말할준비가되어있어야하고,정의로운통치가이루어지는지지켜보면서통치가정의의방향으로휘어지게하고,통치당국이하나님이기대하시는임무를이행하게만들어야한다(3장).

그리고자연스럽게그지점에서,더나아가무섭고위험천만한곳이되어가는이세상에서,어떻게하나님나라건설에기여할것이냐는주제를보다구체적으로다루어야한다.하나님나라는이세상에서나온것은아니지만,이세상을위한것이너무나분명하기에그나라의사명을받은우리는세상에서물러날수없다.그래서우리는하나님나라건설에기여하는실제적방안들을몇가지제안한다(4장).그다음으로우리는통치당국에대한복종이라는주제(5장)와기독교적증언을위해통치당국에적극적으로불복종해야할때(6장)를다룬다.이둘은어렵고복잡한주제이다.하지만우리는정부의선함을긍정하는일만큼이나정부가공공서비스를제공하는데서약탈적폭정으로퇴행할경우,우리가할수있는것이무엇인지설명하는일에도관심이있다.

끝으로,우리는자유민주주의를지지하는논증을제시한다.우리는‘자유민주주의’가말하는그‘자유’에힘입어기독교인임에도불구하고가아니라정확히기독교인으로서정치적,문화적성향이다른이들과함께살아갈수있다.그어떤문제도간단하지않으며,다양성은갈등을낳을수밖에없지만,우리는좌파이웃도우파이웃도모두사랑하고,신앙의종류나그유무와관련없이모든사람을위해더나은세상을건설하도록부름을받았다(7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