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대마에 대한 오해, 유서 깊은 공포의 기억
대마에 대한 세계적인 주목과 새로운 시선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는 의료용 대마에 대한 논의조차 조심스럽다. 한국 사회에서 대마초는 여전히 사회적 ‘주홍글씨’의 상징이고 정서적 거부의 대상이다.
대마의 유용성에 주목한 미국, 캐나다,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호주, 핀란드, 이스라엘, 중국 등 여러 나라가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하고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기호용 마리화나의 유통까지 허용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대마는 어느 순간 새로운 산업으로 세계적 주목을 끌며 급부상했다.
그런데 우리는 4살 아이의 난치병 치료를 위해 대마 오일을 구매한 어머니에게 형사 처벌을 주저하지 않는다. 아이의 어머니가 구매한 대마 오일의 주성분은 환각 효과가 없는 카나비디올(CBD)로, 미국·캐나다·독일 등에서는 이미 임상시험을 통해 뇌전증, 자폐증, 치매 등 뇌 질환과 신경 질환에 대한 효능이 입증된 물질이다.
어처구니없는 사실은 동일 성분의 대마 오일이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금지 약물에서 제외되었다는 것이다.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어 선수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인데, 대마에 대한 우리의 기준은 국제적인 도핑 규제 기준보다 비합리적으로 엄격하고 고지식하다.
국제법과 국내법의 간극. 국제 올림픽위원회에서 허용한 약물을 사용한 선수에 대해 국내법으로 처벌해야 하는 이 아이러니한 상황은 유신의 공포 정치에 기초해 있다. 1970년대 유신 정권은 유명 연예인들을 대마초 사건으로 엮어 사회적 공포심을 조장하며 대마를 정치적 통제의 수단으로 삼았다.
수갑 찬 연예인들, 사회적으로 가혹하게 격리당하는 연예인들에 대한 기억은 그대로 대마에 대한 정서적 거부와 부당한 오해로 이어졌다. 연예인들의 대마초 파동은 유서 깊게 정치 권력의 국면 전환용으로 그 이후로도 곧잘 재생산되었고, 2000년대 유명 아이돌 가수로도 이어져 한국사회에서 대마는 금기의 상징으로 확고해졌다.
정치적 규제와 그로 인한 증폭된 공포는 대마에 대한 연구와 논의 자체를 차단했다. 따라서 많은 금지 국가에서 처벌을 각오하고 의료적인 연구를 진행할 때에도 한국사회는 그 어떤 연구도 없었다. 의료진과 연구진, 제약사들은 대마의 유용성과 의료적 효과에 대해 침묵하고 외면했다. 아예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 “대마는 대체 불가능한 치료제”라며 오랜 금기를 깨고 대마초를 공론화하고 있는 강성석 목사나 안동시장 등 극소수만이 용감하게 의료용 대마 합법화를 부르짖고 다수는 고요한 침묵을 지속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대마에 대한 세계적인 완화 정책은 이해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현상이 되었다. 일부 절실한 극소수 환자 기족을 제외하고 대마는 아주 중독성이 강한 마약일 뿐이다. 대마의 유용성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그래서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다.
대마의 유용성에 주목한 미국, 캐나다,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호주, 핀란드, 이스라엘, 중국 등 여러 나라가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하고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기호용 마리화나의 유통까지 허용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대마는 어느 순간 새로운 산업으로 세계적 주목을 끌며 급부상했다.
그런데 우리는 4살 아이의 난치병 치료를 위해 대마 오일을 구매한 어머니에게 형사 처벌을 주저하지 않는다. 아이의 어머니가 구매한 대마 오일의 주성분은 환각 효과가 없는 카나비디올(CBD)로, 미국·캐나다·독일 등에서는 이미 임상시험을 통해 뇌전증, 자폐증, 치매 등 뇌 질환과 신경 질환에 대한 효능이 입증된 물질이다.
어처구니없는 사실은 동일 성분의 대마 오일이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금지 약물에서 제외되었다는 것이다.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어 선수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인데, 대마에 대한 우리의 기준은 국제적인 도핑 규제 기준보다 비합리적으로 엄격하고 고지식하다.
국제법과 국내법의 간극. 국제 올림픽위원회에서 허용한 약물을 사용한 선수에 대해 국내법으로 처벌해야 하는 이 아이러니한 상황은 유신의 공포 정치에 기초해 있다. 1970년대 유신 정권은 유명 연예인들을 대마초 사건으로 엮어 사회적 공포심을 조장하며 대마를 정치적 통제의 수단으로 삼았다.
수갑 찬 연예인들, 사회적으로 가혹하게 격리당하는 연예인들에 대한 기억은 그대로 대마에 대한 정서적 거부와 부당한 오해로 이어졌다. 연예인들의 대마초 파동은 유서 깊게 정치 권력의 국면 전환용으로 그 이후로도 곧잘 재생산되었고, 2000년대 유명 아이돌 가수로도 이어져 한국사회에서 대마는 금기의 상징으로 확고해졌다.
정치적 규제와 그로 인한 증폭된 공포는 대마에 대한 연구와 논의 자체를 차단했다. 따라서 많은 금지 국가에서 처벌을 각오하고 의료적인 연구를 진행할 때에도 한국사회는 그 어떤 연구도 없었다. 의료진과 연구진, 제약사들은 대마의 유용성과 의료적 효과에 대해 침묵하고 외면했다. 아예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 “대마는 대체 불가능한 치료제”라며 오랜 금기를 깨고 대마초를 공론화하고 있는 강성석 목사나 안동시장 등 극소수만이 용감하게 의료용 대마 합법화를 부르짖고 다수는 고요한 침묵을 지속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대마에 대한 세계적인 완화 정책은 이해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현상이 되었다. 일부 절실한 극소수 환자 기족을 제외하고 대마는 아주 중독성이 강한 마약일 뿐이다. 대마의 유용성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그래서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다.

대마초 약국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