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이야기 : 전염병 예방과 인류의 생존을 위한 멈추지 않는 도전들

백신 이야기 : 전염병 예방과 인류의 생존을 위한 멈추지 않는 도전들

$20.00
Description
각종 감염병 바이러스에 끊임없이 대항해 온 백신,
작은 바늘 속 방대한 역사를 다각도에서 파헤치다!
2019년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이래로 백신은 유례없이 많은 관심과 논란의 중심에 있어왔다. 하루가 다르게 속출하는 감염자 및 사망자의 수는 큰 충격을 주었고,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 백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완벽한 백신의 효능을 꿈꿨다. 하지만 이러한 이런 희망도 잠시, 백신 접종 이후 보고된 수많은 후유증은 다시금 인류를 절망하게 했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치명적인 독감이 유행하고 있는 현재, 우리는 바이러스와 백신에 대해 얼마만큼 잘 알고 있으며,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까?
미생물학 박사이자 로타 바이러스 전문 연구원으로서 저자는 『백신 이야기』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궁금해할 법한 바이러스와 백신의 관한 모든 이야기를 전한다. 인류 최초의 바이러스 감염병인 천연두와 이를 박멸시킨 인두법 및 우두법으로 시작해 현대 백신의 등장 배경과 원리, 다양한 바이러스와 이와 관련된 백신 개발의 여정, 백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린아이들에게 취약한 홍역, 소아마비, 설사병에서 성인들 중심의 질병인 인플루엔자, 수두대상포진, 자궁경부암, 에이즈까지 시대와 성별을 불문하고 인류의 생명을 위협해 온 감염병과 이에 대항해 백신이 걸어온 투쟁의 역사를 전한다. 오랜 시간 우리의 일상을 뒤흔들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백신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다룬다.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등 코로나19 시기에 한 번쯤은 들어 본 기업들의 뒷이야기는 물론 코로나19 백신의 주축이 된 커털린 커리코와 그의 mRNA 백신 연구 업적들을 풀어낸다. 이로써 지금의 일상을 되찾게 해준 코로나19 백신이 어디에서, 누구로부터,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역사적인 발자취들을 돌아보게 한다. 나아가 이후 재조명된 백신의 중요성과 윤리적 문제, 백신을 둘러싼 유사과학과 음모론, 사회적 책임과 연결 등으로 이야기를 확장해 간다.
무엇보다 이 책은 백신에 관해 단순히 설명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저마다의 백신이 탄생하기까지 여러 바이러스의 발견, 연구, 실험 등에 공헌한 수많은 과학자의 도전과 헌신이 드러나는 에피소드를 들여다볼 수 있다. 바이러스와 백신 연구의 최일선에서 일하는 과학자의 탄탄한 데이터와 경험에 기반한 촘촘한 이야기들이 이 책 『백신 이야기』 한 권에 전부 담겨 있다.


작은 바늘에서 시작된 길고 긴 여정,
그 속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찾다!

코로나19가 우리 삶으로 들어온 지 벌써 5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최초 감염자의 등장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는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다양한 지역 사회로 퍼져나가 막대한 감염병 피해를 일으켰다. 우리의 일상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최근까지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유례없는 확산 속도와 돌연변이의 탄생 과정에서 공중 보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 수준과 태도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백신 접종뿐만 아니라 마스크 착용, 손 씻기, 컨디션에 따른 자가 격리,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의 일들이 이제 개인의 책임을 넘어 사회 전체의 연대와 협력을 요구하는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를 통해 감염병 예방과 해결에 집단면역 형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절실히 깨달았기 때문이다.
인간을 위협하는 수많은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냐는 한 질문에, “역설적이게도, 많은 사람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야 한다”라는 저자의 말마따나 앞으로도 수많은 바이러스를 맞닥뜨려야 하는 게 우리 인류의 숙명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단순히 위험 상황으로서 팬데믹을 인지하기보다 체계적인 방식의 공중 보건을 구축하기 위한 기회이자 계기로 받아들여 공동의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백신 이야기』는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더 견고하게 자리매김하는 책이 될 것이다.

저자

문성실

저자:문성실
대학시절우연히,세계최초로한타바이러스를발견하신고故이호왕박사님의강연을듣고바이러스의매력에빠졌다.대학원시절감염면역학을전공하며다양한바이러스로인한질병을접했고,이를방어할수있는인류무기인백신개발의세계에발을들여놓게되었다.미생물학자로서백신개발을위한기초연구부터시작해임상시험을진행하기까지20여년의시간을보냈다.코로나19이후바이러스와백신에대한정보를알려야겠다는생각으로글을쓰는과학자가되었다.이방인,엄마,과학자로서의삶을살며뒤에오는여성과학자들을위한활동을해왔다.현재는재미여성과학자협회회장으로있다.저서로는『사이언스고즈온』을,공저서로는『여기서끝나야시작되는여행인지몰라』『호모사이언스』『내일은내일이가까워질거야』를썼다.

목차


이책을향한찬사1
일러두기6
용어미리보기12

1부현대이전의세균학과백신개발의시초
1.백신의토대가된미생물의세계19
2.천연두에맞선오랜투쟁,인두법30
3.천연두에맞선혁신적투쟁,우두법42
4.20세기,끝나지않은천연두와의싸움53

2부현대에들어선백신
1.현대백신의탄생67
2.백신의원리와종류73
3.마이크로니들84

3부전세계어린이의목숨을구하다
1.인류를위협한홍역,그리고백신의탄생93
2.항아리손님에서백신까지:유행성이하선염정복101
3.선천성기형의해결사,풍진백신108
4.면역혁명:MMR백신의탄생과유산115
5.마지막1%를위한집념:폴리오백신120
6.설사병과의싸움:로타백신의발전사137

4부인류의오랜역사를함께하다
1.인플루엔자백신149
2.기후위기에맞선뎅기열백신166
3.바이러스와의이중전투:수두대상포진백신176
4.간염백신186
5.여전히풀지못한숙제,에이즈백신201
6.모든이를위한자궁경부암백신213

5부코로나19,백신의새로운시대를열다
1.코로나19,백신의새로운시대를열다225
2.코로나19의열쇠가된mRNA백신과커털린커리코239

6부포스트코로나,우리가백신을말할때
1.백신신뢰와공중보건의딜레마249
2.백신개발의복잡성:세포기질의윤리와과학254
3.백신이상반응보고시스템261
4.백신반대운동:백신의사회적여정268
5.백신의여정:과학,불신,그리고회복280

맺음말285
사진출처288

출판사 서평

김훈(SK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재갑(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감염내과교수),송만기(국제백신연구소사무차장)강력추천!
“『백신이야기』는과학과역사그리고인간의도전정신을이해하는데소중한통찰을제공한다.”_송만기(국제백신연구소사무차장)

작은바늘에서시작된길고긴여정,
그속에서우리가나아가야할길을찾다!

코로나19가우리삶으로들어온지벌써5년이라는시간이지났다.최초감염자의등장이후코로나바이러스는걷잡을수없는속도로,다양한지역사회로퍼져나가막대한감염병피해를일으켰다.우리의일상은코로나19이전과이후로나뉜다고할수있을만큼최근까지많은변화를겪어왔다.유례없는확산속도와돌연변이의탄생과정에서공중보건에대한사람들의의식수준과태도는큰변화를맞이했다.백신접종뿐만아니라마스크착용,손씻기,컨디션에따른자가격리,정기적인건강검진등의일들이이제개인의책임을넘어사회전체의연대와협력을요구하는영역으로자리잡았다.코로나19를통해감염병예방과해결에집단면역형성이필수적이라는점을절실히깨달았기때문이다.

인간을위협하는수많은바이러스백신을만들기위해서는무엇이가장필요하냐는한질문에,“역설적이게도,많은사람들이바이러스에감염되어야한다”라는저자의말마따나앞으로도수많은바이러스를맞닥뜨려야하는게우리인류의숙명이다.그렇기에우리는단순히위험상황으로서팬데믹을인지하기보다체계적인방식의공중보건을구축하기위한기회이자계기로받아들여공동의노력을해나가야한다.『백신이야기』는이러한필요성을더욱더견고하게자리매김하는책이될것이다.

책속에서

19세기는천연두백신과관련해혼돈의시대였다.전세계적으로백신림프를보내고받고,여기저기서받은림프를다시혼합하고,사람이나소혹은말에감염시키고대량생산하는일들이활발하게일어났다.바이러스의존재나유전자에대해서몰랐을당시,눈에보이지않는바이러스는유전적으로혁명적인변화를겪은것으로보인다.이시기동안백신림프인백시니아바이러스는다양한종Strain의유전자풀genepool로진화했으며과학자들은이시기를통해우두바이러스도,마두바이러스도,천연두바이러스도아닌백시니아바이러스가고유의계통발생군집을이뤘다고예상하고있다._51p

파스퇴르가광견병백신을개발하기전까지백신이란단어는천연두를위한우두법만을의미했으며,이에따라광견병백신을‘파스퇴르의치료법’이라고불러왔다.그는우두법을창시한에드워드제너를기리고,인위적으로약독화된질병에대해“백신”이라고명명해오늘날백신의정의를확립했다.파스퇴르의연구는바이러스의존재를몰랐던시절에바이러스학을발전시키고,전세계적으로백신연구를촉진하는데기여했다._72p

독감백신은늘잘작동하지않는다는오해를갖고있다.독감백신이전시즌부터유행하는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대한분석을통해독감시즌에유행할것같은바이러스를예상하는작업은사실은전세계의모니터링시스템을통해서수많은과학자와수만개의샘플을수집해결정하는일이다.2019~2020년의자료에따르면이백신을통해미국에서2만명이상의사망자수와40만명이상의입원률을줄였고,3천800만명의인플루엔자감염을줄였다._164p

홋타스스무는전쟁말기에그의건물이폭격받을까염려해보온병에얼음을채우고분리한바이러스를항상휴대하고다녔다.전쟁이끝난후에는미국워싱턴대학에서뎅기바이러스의세포배양에대한연구로박사학위를받고,1957년고베의과대학의교수가되어일본으로돌아갔다.그의임용을통해고베대학은국제의학연구센터를설립하고국제협력의학교육및연구를촉진하는데큰기여를했다._171p

2013년커리코는mRNA를실제임상과접목시키고자독일바이오엔텍의부사장으로자리를옮겨백신이아닌암치료를위한단백질대체연구를시작했고,흑색종이나두경부암치료를위한mRNA를연구했다.mRNA를이용한그의기술은지카백신과메르스백신개발에응용되기시작했다.그러다2019년12월코로나19를맞이했다.커리코가40년이넘는세월동안고비마다하나씩돌파해왔던문제들이결국코로나19라는인류가감당할수없었던질병을함께이겨내는데밑거름이되었다._245p

우리모두는한배를타고있다.국경을초월해국가와국가가,사람과동물과환경이밀접하게연결되어있다.지구어디에서든동물과사람간장벽을뛰어넘는신종바이러스질병이출현할가능성이있으며,머지않아인류와동식물의건강을위협할수있다.그렇기에우리는국소적인유행이라도많은사람을감염시키는바이러스백신개발에더많은관심과지원을쏟아야한다고믿는다.백신의역사는코로나19이후새로운전환점을맞고있다.앞으로도인류공동의노력으로모두를위한백신개발이더욱활발해지기를,그리하여인류가바이러스의위협에서자유로워지는날이오기를간절히소망한다._28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