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신라는 상고기에 주변의 소국들을 정복하고 지배-복속관계를 맺어 그들을 통제하였다. 중고기에 소국의 국읍과 읍락을 행정촌으로 편제하고, 행정촌을 몇 개 묶어 군을, 군을 몇개 묶어 주를 설치하였다. 당시 신라는 행정촌에 당주와 나두, 도사라는 지방관을 파견하고, 군주에게 주의 군정과 민정을 총괄하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에 3개의 소경을 설치하고 사대등을 파견하였다. 통일신라에서 행정촌을 현으로 재편하고, 거기에 현령과 소수를, 군에 태수, 9주에 도독 또는 총관을 파견하였으며, 지방의 교통 요지에 5소경을 두었다. 태봉에서 일부 군과 현을 주로 승격시키고, 전국을 몇 개의 도로 나누어 통치하였으며, 고려 태조는 부곡을 두어 이것과 향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일반 군·현인에 비하여 차별 대우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독자들은 본서를 읽음으로써 이와 같은 천년에 걸친 신라 지방통치제도의 변천과정을 체계적 ·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서에서 상고기 신라의 지방통제방식과 주변 제소국의 영역화과정, 이견과 논란이 분분한 중고기 지방통치조직의 내용과 운영 및 그 변화, 군주(軍主)와 당주(幢主), 나두(邏頭), 도사(道使)의 성격과 역할을 규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물론 중고기의 지방제도가 통일신라시기에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당시 지방통치조직은 어떠한 성격을 지녔고,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해명한 다음, 태봉의 지방제도를 검토하여 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면서 지방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조명하는 데에도 중점을 둘 예정이다. 본서를 작성하면서 기존의 연구성과를 최대한 반영하려 노력하였지만, 부득이하게 본서에 반영하지 못한 연구성과가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본인의 관점에서 재정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오류와 왜곡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해 동학의 넓은 양해와 용서를 구하는 바이다. 본서가 향후 신라 지방제도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진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아울러 신라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의 시야와 안목을 높이는 데에도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간절하게 소망한다. 나아가 본서의 출간을 계기로 신라와 고구려, 백제 지방제도와의 비교 검토, 신라와 고려 지방제도와의 계기적인 연관성을 둘러싼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본서에서 상고기 신라의 지방통제방식과 주변 제소국의 영역화과정, 이견과 논란이 분분한 중고기 지방통치조직의 내용과 운영 및 그 변화, 군주(軍主)와 당주(幢主), 나두(邏頭), 도사(道使)의 성격과 역할을 규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물론 중고기의 지방제도가 통일신라시기에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당시 지방통치조직은 어떠한 성격을 지녔고,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해명한 다음, 태봉의 지방제도를 검토하여 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면서 지방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조명하는 데에도 중점을 둘 예정이다. 본서를 작성하면서 기존의 연구성과를 최대한 반영하려 노력하였지만, 부득이하게 본서에 반영하지 못한 연구성과가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본인의 관점에서 재정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오류와 왜곡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해 동학의 넓은 양해와 용서를 구하는 바이다. 본서가 향후 신라 지방제도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진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아울러 신라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의 시야와 안목을 높이는 데에도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간절하게 소망한다. 나아가 본서의 출간을 계기로 신라와 고구려, 백제 지방제도와의 비교 검토, 신라와 고려 지방제도와의 계기적인 연관성을 둘러싼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신라지방통치제도사
$4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