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이 책은 ≪동의보감≫에 등장하는 식물성 약재를 기본으로 하여 우리 생활 주변이나 산과 들에서 만날 수 있는 약초로 이용되는 풀(초본), 나무(목본), 버섯류 등을 200종 이상 선별하여 사진과 함께 설명한 ‘야생 산약초 대백과’이다. 우선 식물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사진을 맨 앞에 실었으며, 그 외에 식물체를 지상부, 꽃, 열매 등으로 분류하고 가공 후의 약재까지 수록하여 약초 감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게다가 혼동하기 쉬운 식물들과 비교한 사진도 실어 언제 어디서나 약초를 찾아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되도록 편집하였다.
일반인은 물론 야생화나 음식, 한의약을 전공한 전문가들까지 충분히 활용 가능하도록 식물 형태와 생육 특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며, 채취 시기와 방법, 수확한 후 가공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주요 성분, 성질과 맛(성미) 및 작용부위(귀경), 효능주치, 약용법과 용량을 기록하였으며, 사용상의 주의 사항을 실어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도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각 식물체를 이용한 특허자료를 인터넷과 각 기관을 통하여 검색하고 수록하여, 제품개발 등 응용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인들도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식물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고 식물명 앞에 대표적인 적용질환을 부제로 넣어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제목(식물명) 바로 아래에는 생약명을 비롯한 특성을 간단히 정리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용어는 최대한 쉽게 풀어 설명하고, 중요한 부분에는 한자를 병기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식물명과 학명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약칭 ‘국생종’)에 따랐으며, 공정서의 학명이 국생종과 서로 다른 경우에도 ‘국생종’의 학명을 기준으로 정리하였고, 생약명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정보시스템(http://www.mfds.go.kr)을 기준으로 하였다.
일반인은 물론 야생화나 음식, 한의약을 전공한 전문가들까지 충분히 활용 가능하도록 식물 형태와 생육 특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며, 채취 시기와 방법, 수확한 후 가공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주요 성분, 성질과 맛(성미) 및 작용부위(귀경), 효능주치, 약용법과 용량을 기록하였으며, 사용상의 주의 사항을 실어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도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각 식물체를 이용한 특허자료를 인터넷과 각 기관을 통하여 검색하고 수록하여, 제품개발 등 응용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인들도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식물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고 식물명 앞에 대표적인 적용질환을 부제로 넣어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제목(식물명) 바로 아래에는 생약명을 비롯한 특성을 간단히 정리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용어는 최대한 쉽게 풀어 설명하고, 중요한 부분에는 한자를 병기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식물명과 학명은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약칭 ‘국생종’)에 따랐으며, 공정서의 학명이 국생종과 서로 다른 경우에도 ‘국생종’의 학명을 기준으로 정리하였고, 생약명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정보시스템(http://www.mfds.go.kr)을 기준으로 하였다.

동의보감 속의 야생 산약초 대백과 (양장)
$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