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약초도감 : 야생화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야생화·약초

야생화 약초도감 : 야생화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야생화·약초

$28.00
Description
야생화 전문가가 알려주는 우리 야생화의 약초 이용법!
야생화의 생김새 및 약초 사진과 약초로서의 이용법부터 효능, 성분까지 상세한 설명!
산과 들에 난 약초들을 먹고, 약으로 이용하는 것을 서양에서는 ‘Herb’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Herb를 실생활에 이용해왔다. HERB는 H(healthy), E(edible or eating), R(refresh), B(beauty or beautiful)의 합성어이다. 산에서 나는 약초는 이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으며, 이 약초들은 온갖 약재와 산나물로 가공되었고 약초에 관한 지식들도 다른 나라와 달리 매우 발달되어 왔다. 봄이면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순을 이용해서 비빔밥을 만들어 먹고, 여름에는 나물을 이용하여 묵나물로 만들어 먹거나 장아찌를 담가 먹기도 하며, 가을과 겨울에는 열매와 뿌리를 이용하여 각종 약재를 만들거나 술을 담가 마시기도 한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나타난 현상은, 산에서 나는 약초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것이다. 늘어난 관심과 함께 ‘약초가 뭐지?’, ‘뭘 보고 약초라고 할까?’, ‘산나물은 어떻게 먹지?’ 등등 이러한 궁금증이 늘어났다. 이 책에는 언제 어떤 부위를 약초로 채취하고, 어떻게 산나물을 먹어야 하며, 우리 몸에 어떻게 좋은가 하는 것을 적어놓았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통해 약초를 정확히 알 수 있었으면 한다.

저자

정연옥,김용문,정재한

저자:정연옥
원광대학교대학원농학박사.마산대학교한약재개발과교수(현).야생화연구소소장[원우바이오텍](현).경남산청한방항노화포름산업위원(현).야생화개인사진전6회개최.한국자원식물학회상임이사,한국약용작물학회정회원.한국임상보건과학회이사.저서로는『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약용작물재배와이용>,『야생화약초도감>,『야생화백과사전-봄편/여름편/가을편』,『지리산의야생화약용식물-상/하』,『야생화산약초도감』,『사계절야생화도감』,『우리야생난』외다수가있다.

저자:김용문
마산교육대학졸업
38년간초등학교교사로재직
백두산탐방4회
울릉도야생화탐방3회
제주도야생화탐방월1회
경남생태지키미활동(10년)
마산대학교부설야생화교실활동(5년)
30여년간야생화탐사및식물보호활동

저자:정재한
서남대학교생명공학과졸업
비비플로라천연물연구소수석연구원
국화과식물의분리동정(국책연구과제)
제주도,한라산,백두산등야생화탐사20여회
해안가야생화탐사50여회
논문으로는《자생바위솔(바위솔,정선바위솔,좀바위솔)의형태적특성과성분비교》,《야생화를이용한살균제개발》외다수의야생화관련논문이있다.

목차


머리말

|ㄱ|
감국/개다래/개회향/겨우살이/계요등/고본/곰취/구릿대/구절초/궁궁이/금낭화/금불초/기린초/까마중/까치수염/깽깽이풀/꽃층층이꽃/꽃향유/꿀풀/꿩의비름

|ㄴ|
노루귀/노루발/노루오줌/눈개승마

|ㄷ|
달래/닭의장풀/담배풀/더덕/도라지/돌나물/동의나물/동자꽃/둥굴레/등대풀/땅비싸리/뚝갈

|ㅁ|
마타리/맥문동/모시대/무릇/물레나물/물봉선/미나리냉이/미역취/미치광이풀/민들레/민백미꽃

|ㅂ|
바디나물/바위솔/박새/박주가리/반하/배초향/백리향/백미꽃/백선/백작약/벌개미취/범부채/보춘화/복수초/부처손/붓꽃/비비추/비수리

|ㅅ|
사위질빵/산딸나무/산마늘/산박하/산자고/산해박/삼백초/삽주/삿갓나물/생강나무/석잠풀/속새/솔나물/솜방망이/수리취/술패랭이꽃/숫잔대/쉽싸리/시호/실새삼/쑥부쟁이

|ㅇ|
앉은부채/애기똥풀/앵초/약모밀/어수리/얼레지/엉겅퀴/여로/오이풀/용담/우산나물/원추리/윤판나물/으름덩굴/으아리/이고들빼기/이질풀/익모초/인동덩굴

|ㅈ|
잔대/절굿대/제비꽃/조개나물/조팝나무/족도리풀/중나리/쥐손이풀/쥐오줌풀/지느러미엉겅퀴/지치/진범/질경이/짚신나물/찔레꽃

|ㅊ|
참당귀/천남성/천마/청미래덩굴/초롱꽃/촛대승마/층꽃나무/칡

|ㅋ|
큰꽃으아리/큰뱀무

|ㅌ|
톱풀/투구꽃

|ㅍ|
패랭이꽃/풀솜대

|ㅎ|
하늘타리/하수오/할미꽃/함박꽃나무/현호색/홀아비꽃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