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분류사와 복수표지의 기능 대조 및 습득 연구

한중 분류사와 복수표지의 기능 대조 및 습득 연구

$17.22
Description
이 책은 언어유형론의 시각으로 한국어, 표준 중국어와 상하이방언에서 분류사와 복수표지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습득 예측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의미지도 모형(地模型), 언어목록유형론(言藏型)의 현저성(赫度) 이론, 유표성차이가설(性差假) 그리고 문법화의 추론, 유추, 일반화 등 이론과 기제를 사용하였다.

이 책은 크게 기본적 구조, 기본적 구조의 확대,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분류사의 중첩 등 네 개의 유형으로 나눠서 한국어, 표준 중국어와 상하이방언의 분류사 특징을 연구했다. 이 기초 위에 표준 중국어의 특수 분류사인 ‘个, 点, 些’와 상하이방언의 특수 분류사인 ‘个, 眼’에 대해 더 깊은 고찰을 했다. 기본적 구조의 확대 부분에서 분류사 수량 표현과 지시사, 형용사, 소유구조, 한국어 격조사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고 범언어적 연구 자료를 통해 확대된 분류사 수량 표현의 어순에 관한 한 가지의 궤층구조(轨层结构)를 제시했다.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부분에서 ‘수량사+분류사, 명사+분류사’와 분류사의 단독적인 사용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각 축소 구조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분류사 수량 표현을 공부할 때 각 구조의 한정성 차이, 통사-의미적 제약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운 부분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한국어 복수표지를 공부할 때 중국인 학습자는 ‘-들’의 배분적 복수 의미와 비전형적인 복수를 나타내는 ‘-들’의 의미적 기능을 좀 더 늦게 습득하고 습득 과정에서 일정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합적 복수를 나타내는 ‘-네’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낯선 복수표지이지만 오방언 지역 학습자에게 ‘-네’와 ‘拉’의 공통점을 제시하면 습득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YueYifei

저자:YueYifei
1991년중국상해에서태어나상해외국어대학교동양어대학한국어학과학부,석사,박사과정을거쳐북경대학교외국어대학조선(한국)언어문화학과박사후로서재학중이다.국비유학생으로1년동안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학과에서공부했다.연구분야는한국어언어학이다.한중언어대조와한국어교육에관심을가지고있다.주목하는이론은언어유형론과인지언어학이다.
저서와논문
저서로는〈언어유형론과한국어문법연구〉(박이정,2020)1권.
논문으로는‘의외성표지의문법화현상에대한범언어적인고찰’(〈한중인문학연구〉,KCI,2019),‘如果와-(으)면,-거든가정조건문개념영역대조연구’(〈중국학〉,KCI,2019),‘유형론시각에서의명사분류사및복수표지의미기능대조연구’(〈중국어교육과연구〉,KCI,2019),‘유정성시각에서의한,중,일,베트남어고빈도재귀대명사의미지도연구’(〈어문론총〉,KCI,2018),‘제2언어습득연구에서MarkednessTheory의적용’(〈한국어교육연구〉,2018),‘지난50년간중한재귀대명사연구가어디까지왔는가’(〈중한언어문화연구〉,2018),표기이론과중한목적어구문습득에서의모국어간섭현상’(〈중국어교육과연구〉,KCI,2017)등십여편.
수상
2012년,2016년,2019년중국교육부국가장학금
2018년상해외국어대학교우수학생
2019년중국지역한국어학과석박사생논문경시1등상
이외에상해외국어대학교교내프로젝트〈유정성시각에서의한국어문법범언어적연구〉,한국연구재단공동연구프로젝트〈한국인을위한중국어표준교육과정개발및활용방안연구〉등에참여.

목차

머리말
摘要
1.서론
1.1연구목적
1.2연구대상
1.3연구이론
1.3.1문법화이론의추론,유추와일반화등기제
1.3.2의미지도모형
1.3.3언어목록유형론의현저성이론
1.3.4유표성차이가설
1.4논의구성및예문출처

2.선행연구
2.1분류사에대한연구
2.1.1한국학계의연구현황
2.1.2중국학계의연구현황
2.2복수표지에대한연구
2.2.1한국학계의연구현황
2.2.2중국학계의연구현황
2.3분류사와복수표지상호작용에대한연구

3.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의분류사수량표현
3.1분류사에관한기본적논의
3.1.1분류사와복수표지의범주소속
3.1.2분류사의명칭,기능과품사
3.1.3연구대상인분류사의선정기준과목록화
3.2한국어의분류사수량표현
3.2.1기본적구조
3.2.2기본적구조의확대
3.2.3기본적구조의축소
3.2.4분류사의중첩
3.3표준중국어의분류사수량표현
3.3.1기본적구조
3.3.2기본적구조의확대
3.3.3기본적구조의축소
3.3.4분류사의중첩
3.3.5특수분류사‘?,点’과‘些’의구조적특징
3.4상하이방언의분류사수량표현
3.4.1기본적구조
3.4.2기본적구조의확대
3.4.3기본적구조의축소
3.4.4분류사의중첩
3.4.5특수분류사‘?’와‘眼’의구조적특징
3.5언어유형론시각에서의분류사수량표현대조
3.5.1확대된분류사수량표현의어순보편성
3.5.2분류사의의미적기능현저성
3.5.3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분류사의의미지도
3.6소결

4.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의복수표지표현
4.1한국어의복수표지표현
4.2표준중국어의복수표지표현
4.3상하이방언의복수표지표현
4.4언어유형론시각에서의복수표지표현대조
4.4.1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복수표지의의미지도
4.4.2복수표지와분류사의현저성제약
4.5소결

5.분류사와복수표지의습득예측
5.1한국어분류사와복수표지에대한습득예측
5.1.1한국어분류사에대한습득예측
5.1.2한국어복수표지에대한습득예측
5.2중국어분류사와복수표지에대한습득예측
5.2.1중국어분류사에대한습득예측
5.2.2중국어복수표지에대한습득예측
6.결론
6.1주요결론
6.2남은문제

참고문헌
후기
저자소개

출판사 서평

이책은언어유형론의시각으로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에서분류사와복수표지의통사,의미적특징을연구하고이와관련된습득예측도진행하였다.연구과정에서의미지도모형(地模型),언어목록유형론(言藏型)의현저성(赫度)이론,유표성차이가설(性差假)그리고문법화의추론,유추,일반화등이론과기제를사용하였다.

이책은크게기본적구조,기본적구조의확대,기본적구조의축소,분류사의중첩등네개의유형으로나눠서한국어,표준중국어와상하이방언의분류사특징을연구했다.이기초위에표준중국어의특수분류사인‘点,些’와상하이방언의특수분류사인‘眼’에대해더깊은고찰을했다.기본적구조의확대부분에서분류사수량표현과지시사,형용사,소유구조,한국어격조사의결합양상을살펴보고범언어적연구자료를통해확대된분류사수량표현의어순에관한한가지의궤층구조를제시했다.기본적구조의축소부분에서‘수량사+분류사,명사+분류사’와분류사의단독적인사용등세가지유형으로나눠서각축소구조의통사,의미적특징을고찰하였다.

한국어분류사수량표현을공부할때각구조의한정성차이,통사-의미적제약차이는중국인학습자에게어려운부분이될것이라고예측된다.한국어복수표지를공부할때중국인학습자는‘-들’의배분적복수의미와비전형적인복수를나타내는‘-들’의의미적기능을좀더늦게습득하고습득과정에서일정한어려움이있을것이라고판단된다.연합적복수를나타내는‘-네’는중국인학습자에게낯선복수표지이지만오방언지역학습자에게‘-네’와‘拉’의공통점을제시하면습득할때도움이될것으로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