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은 언어유형론의 시각으로 한국어, 표준 중국어와 상하이방언에서 분류사와 복수표지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습득 예측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의미지도 모형(地模型), 언어목록유형론(言藏型)의 현저성(赫度) 이론, 유표성차이가설(性差假) 그리고 문법화의 추론, 유추, 일반화 등 이론과 기제를 사용하였다.
이 책은 크게 기본적 구조, 기본적 구조의 확대,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분류사의 중첩 등 네 개의 유형으로 나눠서 한국어, 표준 중국어와 상하이방언의 분류사 특징을 연구했다. 이 기초 위에 표준 중국어의 특수 분류사인 ‘个, 点, 些’와 상하이방언의 특수 분류사인 ‘个, 眼’에 대해 더 깊은 고찰을 했다. 기본적 구조의 확대 부분에서 분류사 수량 표현과 지시사, 형용사, 소유구조, 한국어 격조사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고 범언어적 연구 자료를 통해 확대된 분류사 수량 표현의 어순에 관한 한 가지의 궤층구조(轨层结构)를 제시했다.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부분에서 ‘수량사+분류사, 명사+분류사’와 분류사의 단독적인 사용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각 축소 구조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분류사 수량 표현을 공부할 때 각 구조의 한정성 차이, 통사-의미적 제약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운 부분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한국어 복수표지를 공부할 때 중국인 학습자는 ‘-들’의 배분적 복수 의미와 비전형적인 복수를 나타내는 ‘-들’의 의미적 기능을 좀 더 늦게 습득하고 습득 과정에서 일정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합적 복수를 나타내는 ‘-네’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낯선 복수표지이지만 오방언 지역 학습자에게 ‘-네’와 ‘拉’의 공통점을 제시하면 습득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책은 크게 기본적 구조, 기본적 구조의 확대,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분류사의 중첩 등 네 개의 유형으로 나눠서 한국어, 표준 중국어와 상하이방언의 분류사 특징을 연구했다. 이 기초 위에 표준 중국어의 특수 분류사인 ‘个, 点, 些’와 상하이방언의 특수 분류사인 ‘个, 眼’에 대해 더 깊은 고찰을 했다. 기본적 구조의 확대 부분에서 분류사 수량 표현과 지시사, 형용사, 소유구조, 한국어 격조사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고 범언어적 연구 자료를 통해 확대된 분류사 수량 표현의 어순에 관한 한 가지의 궤층구조(轨层结构)를 제시했다. 기본적 구조의 축소 부분에서 ‘수량사+분류사, 명사+분류사’와 분류사의 단독적인 사용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각 축소 구조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분류사 수량 표현을 공부할 때 각 구조의 한정성 차이, 통사-의미적 제약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운 부분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한국어 복수표지를 공부할 때 중국인 학습자는 ‘-들’의 배분적 복수 의미와 비전형적인 복수를 나타내는 ‘-들’의 의미적 기능을 좀 더 늦게 습득하고 습득 과정에서 일정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합적 복수를 나타내는 ‘-네’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낯선 복수표지이지만 오방언 지역 학습자에게 ‘-네’와 ‘拉’의 공통점을 제시하면 습득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중 분류사와 복수표지의 기능 대조 및 습득 연구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