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당신 몸이 아픈 건, 당신 탓이 아니다”
이유도 모른 채 오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상처의 근원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법
이유도 모른 채 오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상처의 근원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법
편두통과 소화불량, 비만과 당뇨, 암과 우리 수명까지
만성질환에 대한 심리학자의 놀라운 발견
우린 아프면 대개는 병원 문을 두드린다. 의사는 증상을 듣고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염증 같은 원인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없애거나 통증을 줄이는 약을 처방한다. 그렇게 병은 낫는 듯싶다가도 다시 찾아와 우리를 괴롭힌다. 바이러스나 염증 같은 원인 뒤에 더 근원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프랑스 임상심리학자 시릴 타르키니오는 말한다. 어쩌면 우리 몸이 끊임없이 아픈 이유가 트라우마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이다. 트라우마가 PTSD나 우울증 같은 마음의 병을 일으킨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을 법 하지만, 트라우마가 우리 몸까지 망가뜨릴 수 있다는 주장은 조금 낯설다. 그런데 왜 프랑스의 심리학자는 우리 건강 문제의 주범으로 트라우마를 지목했을까?
그는 이 책 ≪이유 없는 병은 없다≫에서 우리가 미처 떠올리지 못했던 트라우마의 영향을 낱낱이 드러낸다. 주로 유아기부터 청소년기 사이에 겪은 부정적 사건이, 성인이 된 우리의 신체와 정신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찬찬히 살피면서 트라우마와 우리 몸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2016년 웨일스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부정적 경험을 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배 더 건강에 문제가 있으며, 일반의 진료를 2배 더 받고, 병원 입원 횟수가 3배 더 많았다.”
타르키니오는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트라우마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부터 트라우마가 우리 마음과 몸을 어떻게 망가뜨리는지,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트라우마를 다스리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지 그 방법들을 이 책에서 전한다.
그가 책에서 말하고 싶은 건, 트라우마와 건강의 인과 관계를 의료계에서는 그리 주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유를 알 수 없는, 낫다 싶으면 다시 찾아오는 고통과 병들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인지 모른다. 몸과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우리 모두 한 번쯤 단순히 의료적 외상이 아닌 우리 내부의 목소리를 들어봐야 한다는 사실을, 책은 말하고 있다.
어느 누구도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다
타르키니오는 책의 서두를 우리가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는 데 할애한다. 애초에 아무리 자녀를 아끼는 부모라도 아이가 어떤 외상도 겪지 못하게 막아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일 완벽한 부모 밑에서 자랐다 해도 이런 환경에서 아무런 내성을 키우지 못한 채 사회로 나가면 외려 더 큰 트라우마를 입을 수 있다.
결국 우리 모두에게 심리적 외상, 트라우마는 피할 수 없는 것이 된다. 각자에게 트라우마의 종류와 원인은 모두 다르지만 말이다. 그리고 이 트라우마는 우리 자신이 알아채지 못해도 우리의 뇌에 모두 저장되고 기억된다. 그것이 성인이 된 우리에게 PTSD 같은 심리적 문제와 동시에 두통, 소화문제, 당뇨, 비만, 크게는 암이나 수명까지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문제로 불거지는 것이다.
적응과 회복탄력성, 긍정심리까지
트라우마에서 비롯한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
타르키니오는 다양한 병과 고통의 원인으로 트라우마를 지목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트라우마를 다스려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타르키니오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우리 스스로 마음의 적응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적응은 심리학에서 무척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는데, 트라우마가 문제로 발현하느냐는 각자의 적응력에 따라 달린 문제기도 하다. 적응은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는 우리가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과정인데 같은 강도의 트라우마를 겪었더라도 사람마다 그에 대한 적응력은 다르다. 이는 ‘대처’라는 메커니즘으로 드러나는데 이를테면 문제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대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정서적으로 대처하는 사람, 또 문제 자체를 해결하려 나서는 사람이 있다. 보통 문제 중심 대처가 적응력 강화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처럼 타르키니오는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적응력을 키워낼 수 있는지를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독자들에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등장하는 개념이 회복탄력성이다. 우리가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전하면서, 사랑이나 자기연민, 유머를 포함한 긍정적 감정을 트라우마에 적응력을 키우고 우리 몸을 치유할 수 있는 심리 도구로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심리치료 역시 우리의 병증에 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저자는 힘주어 말한다.
만성질환에 대한 심리학자의 놀라운 발견
우린 아프면 대개는 병원 문을 두드린다. 의사는 증상을 듣고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염증 같은 원인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없애거나 통증을 줄이는 약을 처방한다. 그렇게 병은 낫는 듯싶다가도 다시 찾아와 우리를 괴롭힌다. 바이러스나 염증 같은 원인 뒤에 더 근원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프랑스 임상심리학자 시릴 타르키니오는 말한다. 어쩌면 우리 몸이 끊임없이 아픈 이유가 트라우마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이다. 트라우마가 PTSD나 우울증 같은 마음의 병을 일으킨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을 법 하지만, 트라우마가 우리 몸까지 망가뜨릴 수 있다는 주장은 조금 낯설다. 그런데 왜 프랑스의 심리학자는 우리 건강 문제의 주범으로 트라우마를 지목했을까?
그는 이 책 ≪이유 없는 병은 없다≫에서 우리가 미처 떠올리지 못했던 트라우마의 영향을 낱낱이 드러낸다. 주로 유아기부터 청소년기 사이에 겪은 부정적 사건이, 성인이 된 우리의 신체와 정신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찬찬히 살피면서 트라우마와 우리 몸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2016년 웨일스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부정적 경험을 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배 더 건강에 문제가 있으며, 일반의 진료를 2배 더 받고, 병원 입원 횟수가 3배 더 많았다.”
타르키니오는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트라우마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부터 트라우마가 우리 마음과 몸을 어떻게 망가뜨리는지,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트라우마를 다스리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지 그 방법들을 이 책에서 전한다.
그가 책에서 말하고 싶은 건, 트라우마와 건강의 인과 관계를 의료계에서는 그리 주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유를 알 수 없는, 낫다 싶으면 다시 찾아오는 고통과 병들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인지 모른다. 몸과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우리 모두 한 번쯤 단순히 의료적 외상이 아닌 우리 내부의 목소리를 들어봐야 한다는 사실을, 책은 말하고 있다.
어느 누구도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다
타르키니오는 책의 서두를 우리가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는 데 할애한다. 애초에 아무리 자녀를 아끼는 부모라도 아이가 어떤 외상도 겪지 못하게 막아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일 완벽한 부모 밑에서 자랐다 해도 이런 환경에서 아무런 내성을 키우지 못한 채 사회로 나가면 외려 더 큰 트라우마를 입을 수 있다.
결국 우리 모두에게 심리적 외상, 트라우마는 피할 수 없는 것이 된다. 각자에게 트라우마의 종류와 원인은 모두 다르지만 말이다. 그리고 이 트라우마는 우리 자신이 알아채지 못해도 우리의 뇌에 모두 저장되고 기억된다. 그것이 성인이 된 우리에게 PTSD 같은 심리적 문제와 동시에 두통, 소화문제, 당뇨, 비만, 크게는 암이나 수명까지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문제로 불거지는 것이다.
적응과 회복탄력성, 긍정심리까지
트라우마에서 비롯한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
타르키니오는 다양한 병과 고통의 원인으로 트라우마를 지목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트라우마를 다스려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타르키니오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우리 스스로 마음의 적응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적응은 심리학에서 무척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는데, 트라우마가 문제로 발현하느냐는 각자의 적응력에 따라 달린 문제기도 하다. 적응은 트라우마를 피할 수 없는 우리가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과정인데 같은 강도의 트라우마를 겪었더라도 사람마다 그에 대한 적응력은 다르다. 이는 ‘대처’라는 메커니즘으로 드러나는데 이를테면 문제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대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정서적으로 대처하는 사람, 또 문제 자체를 해결하려 나서는 사람이 있다. 보통 문제 중심 대처가 적응력 강화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처럼 타르키니오는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적응력을 키워낼 수 있는지를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독자들에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등장하는 개념이 회복탄력성이다. 우리가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전하면서, 사랑이나 자기연민, 유머를 포함한 긍정적 감정을 트라우마에 적응력을 키우고 우리 몸을 치유할 수 있는 심리 도구로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심리치료 역시 우리의 병증에 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저자는 힘주어 말한다.
이유 없는 병은 없다 : 최신 심리학이 밝혀낸 만성질환의 숨겨진 이유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