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차, 사상의학으로 만나다

꽃차, 사상의학으로 만나다

$38.00
Description
『꽃차, 사상의학으로 만나다』는 〈꽃차와 태음인〉, 〈태음인 열증과 꽃차〉, 〈도라지 (길경桔梗)〉, 〈상백피桑白皮〉, 〈율무 (의이인薏苡仁)〉, 〈머위꽃 (관동화款冬花)〉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

김형기,임병학

저자:김형기
충북대·청주대평생교육원한방꽃차소믈리에교수로출강하며한방꽃차를가르치고있으며,한국한방꽃차협회(주)공동대표와충청한방꽃차협동조합이사장,원광대학교마음학연구회회장을맡고있다.저자는꽃이너무좋아서젊은시절부터수많은시간동안꽃차를덖고연구하면서생활하고있다.원광대학교동양학대학원에서사상의학四象醫學을배우고,사상인에맞는꽃차를강의하고있다.

저자:임병학
충남대학교대학원에서철학박사를취득하고,현재원광대학교동양학대학원에교수로재직하고있다.
연구분야는<주역>을기본으로일부(一夫)김항(1826~1898)의정역철학과동무(東武)이제마(1837~1900)의사상철학,소태산(少太山)박중빈(1891~1943)의일원철학이다.
대표적인저서는<하늘을품은한자,주역으로풀다>,<치유와성숙을위한인성보감>,<易學과河圖洛書>,<一夫傳記와正易哲學>등이있고,논문은역학연구20여편,사상철학20여편,일원철학3편등다수가있다.
저자는<주역>을공부하면서우연한기회에차(茶)를통한정좌의수행을통해하늘의소리에감응하는이치를배우고,독경을통해성인의마음과일체화되는자기내면의울림을얻고,사경을통해논리적이치를얻는방법을알게되었다.이는천지인(天地人)의공부법으로정좌는천(天),독경은인(人),사경은지(地)에해당된다.
특히삼천대천(三千大千)으로펼쳐지는삶의세계에서사람의의식(정신,영혼,심성)의차원을높이는것에대하여고민하고있다.개개인이자신의의식을높이지않고는몸이가지고있는욕망을쫓아가는삶에서벗어나지못하기때문에몸과마음을올바로세워서살아가는길은무엇인지를공부하는것이다.

목차

꽃차,사상인을만나다

꽃차와태음인
태음인열증과꽃차
도라지(길경桔梗)10
칡(갈근葛根)15
맥문동麥門冬20
상백피桑白皮25
국화菊花(감국甘菊)30
과체瓜?35
무씨(나복자蘿?子)40

태음인한증과꽃차
율무(의이인薏苡仁)45
승마升麻50
연꽃씨(연육蓮肉)55
창포菖蒲60
머위꽃(관동화款冬花)65
매실(오매烏梅)70
오미자五味子75
마(산약山藥)80
은행(백과白果)86
밤(율자栗子)91

꽃차와소음인
소음인열증과꽃차
백작약白芍藥98
청피靑皮103
인진쑥(사철쑥)108
익모초益母草113
산사山査118
탱자(지실枳實)123

소음인한증과꽃차
인삼人蔘128
당귀當歸134
감초甘草139
총백蔥白144
생강生薑149
향유香?155
쑥(애엽艾葉)160
홍화紅花164
진피陳皮169
계피(육계肉桂)174
자소엽紫蘇葉179

꽃차와소양인
소양인열증과꽃차
치자梔子186
박하薄荷192
으름(목통木桶)197
질경이씨(차전자車前子)202
인동초꽃(금은화金銀花)207
죽여竹茹212
좁쌀(속미粟米)217

소양인한증과꽃차
숙지황熟地黃222
방풍防風227
땅두릅(강활羌活)232
산수유山茱萸237
구기자枸杞子242
복분자覆盆子247

꽃차와태양인
태양인열증과꽃차
오가피五加皮254
다래(미후도??桃)259
용담초龍膽草264

태양인한증과꽃차
모과木瓜269

사상의학,근본을배우다
동무이제마와『동의수세보원』276
이제마의생애276
『동의수세보원』의구성과내용278
사상의학의학문연원285

사상인과마음작용·몸기운292
사상인의장리藏理와애기哀氣·노기怒氣·희기喜氣·락기樂氣295
폐기肺氣·비기脾氣·간기肝氣·
신기腎氣와사상인296
수곡온기水穀溫氣·열기熱氣·
량기凉氣·한기寒氣와사상인299
사상인의표기表氣와리기裡氣311

『사상인변증론』과사상인변별314

찾아보기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