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누구나 밥을 먹지만, 누구도 잘 알지 못했던
벼의 일 년을 고스란히 기록하다
벼의 일 년을 고스란히 기록하다
작은 볍씨 한 알이 한 포기의 벼가 되고, 벼 한 포기에는 알곡 약 1,800개가 들어찬다고 합니다. 성인 한 사람이 먹는 밥 한 그릇에 들어가는 쌀알은 5,200여 개고, 그러니까 벼 세 포기가 우리의 한 끼니를 채워 준다고 합니다. 오랜 세월 동안 쌀이 주식이었고 앞으로도 그러할 우리에게 벼라는 식물은 수만 가지 식물 가운데 가장 가깝고도 소중한 식물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어쩌면 관심 밖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무 당연해서 굳이 들여다볼 생각조차 하지 않은 것이었을지도요.
밥 한 그릇에 쌀알 5,200여 개가 들어가고, 이는 벼 세 포기에 해당하는 양이라는 것은 『벼의 일 년: 한 알의 볍씨가 쌀이 되기까지』의 저자들이 직접 쌀알을 하나하나 세어 보고, 쌀알의 출발인 볍씨를 싹 틔워 모를 키우고 그 모를 논에 심어 벼로 자라 수확하기까지 걸리는 일 년이라는 시간 동안 관찰하고 기록한 결과로 알게 된 사실입니다.
이 책을 만든 이들은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전공과정 생태농업과(이하 풀무학교 전공부) 교사와 학생들입니다. “더불어 사는 평민”을 기르는 풀무학교 전공부에서는 유기농업을 실천하며 논밭 농사를 짓습니다.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로봇이 사람 대신 일을 하는 이 시대에 땀 흘려 일하는 노동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흙을 살리는 농부로서 땅을 지키려는 이들입니다. 손모내기를 하고, 모내기를 하는 날에는 풍물과 농요 소리가 마을에 울려 퍼집니다. 제초제를 비롯한 농약을 쓰지 않기에 한여름에는 다 같이 논에 들어가 김을 맵니다. 일은 고되지만, 덕분에 논과 논 둘레의 생물 다양성은 풍부해집니다.
벼의 일 년을 함께 관찰하고 기록해 보자고 합심한 이들은 교사 오도와 당시 학생이던 김주련, 정채영, 오선재였습니다. 풀무학교 전공부를 다니고 마을에 정착해 살던 박혜정이 사진 기록을 맡아 주었고, 농사 선생으로 풀무학교 전공부 개교 때부터 일하다가 퇴직한 장길섭 선생이 책의 감수를 해 주었습니다. 논농사를 해마다 지었어도, 벼를 이렇게나 자세히 또 꾸준히 관찰해 보기는 다들 처음이어서 새롭게 안 사실들도 많았습니다.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서 함께 공부하고, 그 내용을 또 기록하는 사이에 사계절이 지나갔습니다. 『 벼의 일 년』이 완성되었습니다.
잘 영근 볍씨를 골라 어떻게 싹을 틔워 모로 키우는지, 모를 논에 심기 전까지 논에서는 어떤 준비들을 하는지, 드디어 논이라는 집으로 들어가 살게 된 어린모에서 언제 어떤 모양으로 잎이 나는지, 어엿하게 벼의 모습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뿌리는 얼마나 무성해지고 줄기 사이에서 새끼치기는 몇 번에 걸쳐 이루어지는지, 벼꽃이 어떻게 피어났다가 수정이 되는지, 가을볕 아래 황금빛으로 물든 벼를 언제 수확해 말렸다가 거두어야 하는지 이 모든 과정들을 풍부한 사진과 함께 담았습니다.
논농사를 지어 보고 싶은 이들에게는 이 책이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줄 듯합니다. 생태환경 교육을 하면서 학교에서 텃논을 학생들과 짓는 선생님들에게는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것입니다. 논? 벼? 관심 없는데! 하는 이들일지라도 밥은 먹고 살 테니, 그 밥을 만드는 벼의 일 년을 이 책으로 함께 살아 본다면 책을 만든 보람이 더하겠습니다.
밥 한 그릇에 쌀알 5,200여 개가 들어가고, 이는 벼 세 포기에 해당하는 양이라는 것은 『벼의 일 년: 한 알의 볍씨가 쌀이 되기까지』의 저자들이 직접 쌀알을 하나하나 세어 보고, 쌀알의 출발인 볍씨를 싹 틔워 모를 키우고 그 모를 논에 심어 벼로 자라 수확하기까지 걸리는 일 년이라는 시간 동안 관찰하고 기록한 결과로 알게 된 사실입니다.
이 책을 만든 이들은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전공과정 생태농업과(이하 풀무학교 전공부) 교사와 학생들입니다. “더불어 사는 평민”을 기르는 풀무학교 전공부에서는 유기농업을 실천하며 논밭 농사를 짓습니다.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로봇이 사람 대신 일을 하는 이 시대에 땀 흘려 일하는 노동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흙을 살리는 농부로서 땅을 지키려는 이들입니다. 손모내기를 하고, 모내기를 하는 날에는 풍물과 농요 소리가 마을에 울려 퍼집니다. 제초제를 비롯한 농약을 쓰지 않기에 한여름에는 다 같이 논에 들어가 김을 맵니다. 일은 고되지만, 덕분에 논과 논 둘레의 생물 다양성은 풍부해집니다.
벼의 일 년을 함께 관찰하고 기록해 보자고 합심한 이들은 교사 오도와 당시 학생이던 김주련, 정채영, 오선재였습니다. 풀무학교 전공부를 다니고 마을에 정착해 살던 박혜정이 사진 기록을 맡아 주었고, 농사 선생으로 풀무학교 전공부 개교 때부터 일하다가 퇴직한 장길섭 선생이 책의 감수를 해 주었습니다. 논농사를 해마다 지었어도, 벼를 이렇게나 자세히 또 꾸준히 관찰해 보기는 다들 처음이어서 새롭게 안 사실들도 많았습니다.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서 함께 공부하고, 그 내용을 또 기록하는 사이에 사계절이 지나갔습니다. 『 벼의 일 년』이 완성되었습니다.
잘 영근 볍씨를 골라 어떻게 싹을 틔워 모로 키우는지, 모를 논에 심기 전까지 논에서는 어떤 준비들을 하는지, 드디어 논이라는 집으로 들어가 살게 된 어린모에서 언제 어떤 모양으로 잎이 나는지, 어엿하게 벼의 모습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뿌리는 얼마나 무성해지고 줄기 사이에서 새끼치기는 몇 번에 걸쳐 이루어지는지, 벼꽃이 어떻게 피어났다가 수정이 되는지, 가을볕 아래 황금빛으로 물든 벼를 언제 수확해 말렸다가 거두어야 하는지 이 모든 과정들을 풍부한 사진과 함께 담았습니다.
논농사를 지어 보고 싶은 이들에게는 이 책이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줄 듯합니다. 생태환경 교육을 하면서 학교에서 텃논을 학생들과 짓는 선생님들에게는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것입니다. 논? 벼? 관심 없는데! 하는 이들일지라도 밥은 먹고 살 테니, 그 밥을 만드는 벼의 일 년을 이 책으로 함께 살아 본다면 책을 만든 보람이 더하겠습니다.
벼의 일 년: 한 알의 볍씨가 쌀이 되기까지 : 한 알의 볍씨가 쌀이 되기까지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