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 보감 : 한가지 약으로 병을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약재 처방전

동의 보감 : 한가지 약으로 병을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약재 처방전

$28.57
Description
허준의 책 중 가장 주목할 책은『동의보감』이다. 이 책은 왕명으로 1596년(선조 29)에 시작되어 14년 후인 1610년(광해군 2)에 완성을 보아 1613년(광해 5)에 출간되었다. 애초에는 허준을 책임자로 하여 유의(儒醫) 정작(鄭?), 다른 어의인 양예수(梁禮壽), 김응탁(金應鐸), 이명원(李命源), 정예남(鄭禮男) 등 5인의 공동 작업으로 시작했으나 정유재란으로 중단된 상태에 있다가, 이후 어느 시점에서 허준이 단독으로 책임을 맡아 책을 완성시켰다. 1608년(선조 41) 유배 이후 허준은 연구에 전념할 시간을 얻게 되었고, 유배지에서 단시간에 책의 절반 이상을 집필해냈다. 허준은 양생(養生)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 의학이론과 처방의 난맥상을 바로잡고, 향약 사용의 이점을 최대화하며, 최소한의 약의 분량으로 최대한의 의학적 효과를 얻으려는 데 힘썼다.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조선 사회 회복의 일환으로 획기적인 의학의 제공이라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세계질병사의 관점에서 볼 때, 『벽역신방』도 크게 주목을 끈다. 허준은 성홍열에 대한 예리한 관찰과 합리적인 추론을 통해 이 미지(未知)의 병이 홍역을 비롯한 유사한 질환과 구별되는 병임을 밝혔다.

동의보감은 5개 강목으로 나뉘어 있는데 내경편(內景篇) 6권, 외형편(外形篇) 4권, 잡병편(細隋篇) 11권, 탕액편(湯液篇) 3권, 침구편(鐵炎篇) 1권 이다. 내경편에는 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 혈(血), 몽(夢),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담음(炭飮),오장육부 포(胞), 충(蟲), 대소변둥 내과에 딸린 질병과 함께 수양·양로 병들과 목록이 부기 되어 있다. 외형편에는 두(頭) · 면(面) · 이(耳) · 비(鼻) · 구설(口舌) · 치아· 인후· 두항(頭項) · 배(背)에서 흉(胸) · 복(腹) · 요(膜) · 협(脇) 및 사지· 피(皮)· 육(肉) · 골근· 모발· 전후음(前後陰)등에 이르는 외과 적질병이 기록 되어 있다. 잡병편에는 천지기운· 심병(審病) · 변증(辨證) · 진맥(軫脈) · 용약(用藥)등 진단법으로부터 풍(風) · 한(寒) · 서(暑) · 조(煥) · 화(火) · 내상· 허로· 곽란· 구토· 해소· 적취(積緊)· 부종· 창만(服滿)· 소갈· 황달· 온역(卿交) · 괴질등 내과질환과 웅저(維府) · 제창(諸床)· 제성(諸傷) 등 외과질환들이 혼집(混雜) 되어있고 그밖에 부인과· 소아과가 따로 침부되어있어 각 병상들을 그 증후에 따라 배열하였다.

당액편에는 탕액서례로서 채약법(採藥法) · 건약법(乾藥法) 삼품약성(三品藥性)· 수제법(修製法)· 제약법 · 탕산환법(湯散丸法) · 자약법(想藥法) · 복약법· 오미약성(五味藥性) · 기미승강(氣味升降)등의 사례를 기록하였다. 침구편에는 구침제법(九鑛制法)에서 연침법(鍊鐵法) · 화침법(火敏法) · 점혈법(點穴法) · 제애법(製文法) · 구법(炎法) · 침보사법(鐵補潟法)등과 같이 서설적 논제(論題) 등을 들고 그다음에 십이경맥 의유 · 주 · 수혈들의 소재부위를 자세히 기입하여 근세 임상의학의 각과 각 과와 함께 약물학 및 침구술에 관한 일반적지식이 거의 포괄되어 있음을 짐작 할수 있다. 이책에서의 동의보감 단방은 내경 외형 잡병에 있는 병들의 처방인 단방들을 모두 모아 놓았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한가지 약재로 병을 고질수 있도록 쉽고 편하게 엮어 놓아 어려운 동의보감을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용 할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저자

허준,동의보감연구회

저자:허준
자는청원(淸源),호는구암(龜巖),본관은양천(陽川)이다.30여년동안왕실병원인내의원의어의로활약하는한편,『동의보감(東醫寶鑑)』을비롯한8종의의학서적을집필.
허준은뼈대있는무관의가문출신으로아버지허론(許?)과양반가문출신인어머니영광김씨사이에서태어났다.하지만어머니의신분이정실(正室)이아니었기에,그의신분은중인으로규정되었고,이러한신분은문·무관보다천하다고여겨진의관의길을택하는데작용하였다.그럼에도훌륭한가문의배경덕에허준은어려서부터경전·역사·의학에관한소양을충실히쌓을수있었다.

허준이언제,어떻게의학을공부했으며,또의관으로나아갔는지를일러주는자료는아직보고되지않았다.관직으로볼때,허준의장년이후의삶은세시기로나뉜다.

첫째,내의원관직을얻은1571년부터임진왜란이발발한1592년까지이다.이21년동안허준은내의(內醫)로서크게이름을얻기는했지만,최고의지위에도달하지는못했다.1590년(선조23)허준은왕세자의천연두를치료한공으로당상관정3품의품계를받았다.이품계는『경국대전(經國大典)』이규정한서자출신인허준이받을수있는최고관직인정3품의한계를깰정도의큰상이었다.
둘째,1592년(선조25)임진왜란이후선조가승하하던1608년(선조41)때까지이다.허준이선조의의주피난길에동행하여생사를같이함으로써그는선조의절대적인신임을얻었다.1596년(선조29)왕세자의난치병을고친공으로중인신분에서벗어나양반중하나인동반(東班)에적을올렸다.1604년(선조37)에는임진왜란공신책봉이있었는데,허준은호성공신(扈聖功臣)3등에책정되는한편,그는본관인양천(陽川)의읍호(邑號)를받아양평군(陽平君)이되었다.이와함께품계도승진하여종1품숭록대부(崇祿大夫)에올랐다.1606년(선조39)선조의중환을호전시킨공으로,선조는그에게조선최고의품계인정1품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를주고자했으나,사간원·사헌부의맹렬한반대에부딪쳐이는실현되지않았다.
셋째,1608년(선조41)부터그가죽던해인1615년(광해7)까지이다.이7년은시련기로선조승하의책임을지고벼슬에서쫓겨나고먼곳으로귀향을가는등불운이있었고,귀양에서돌아온이후에도권세가없는평범한내의로지내다고요하게삶을마쳤다.1608년(선조41)선조가병으로죽자,그것이수의(首醫)인그의잘못이라는탄핵을받아허준은삭탈관직되는한편,의주유배형이처해졌다.그의유배는1년8개월이지난1609년(광해1)에풀렸으며,6년후인1615년(광해7)세상을떴다.사후조정에서는그의공을인정하여정1품보국숭록대부를추증했다.

의관허준의출세는조선의역사에서거의유례를찾기힘들정도로파격의연속이었다.이는그의의술솜씨와우직한충성이빚어낸성취였다.이와함께이를질시한양반계급의불만도작지않았다.‘양반에게굽실거리지않으며,임금의은총을믿고교만스럽다.’는세평(世評)도존재했다.

엮음:동의보감연구회

목차

내경편(內景篇)

10―신형
25―정精
35―기氣
45―신神
54―혈血
62―꿈?
68―목소리
72―진액津液
80―담음坡飮
88―5장과6부五脇六腕
95―간장肝腦
101―심장
108―비장牌脇
115―폐장
122―신장?藏
129―담부
131―위부胃腕
139―소장부
142―대장부大腸腑
148―방광부勝腕腑
153―3초부三焦腑
157―포胞
170―충蟲
183―오줌小便
198―대변大便

외형편外國篇

222―머리頭
231―얼굴面
242―눈眼
262-귀耳
270―코鼻
275―입과혀口舌
285―이빨牙齒
296―목구멍昞限
306一목類項
308―등背
310―가슴胸
324―젖乳
331―배腹
336―허리
344―옆구리脇
347―피부皮
357―살肉
364―맥脈
369―힘줄筋
374―뼈骨
379―손手
384―발足
391―머리털毛髮

잡병편維病篇

398―천지운기天地運氣
408―땀汗
412―설下
417―풍風
432―상한傷寒
438―서署
440―습濕
442―화火
455―내상內傷
466―허로虛勞
478―곽란
485―구토唱吐
496―기침暎職
506―적취租燦
514―부종浮膳
523―창만服滿
528―소갈消漏
540―황달黃迫
549―학질疾
555―온역盤度
563―사수
5,3―옹저羅消
585--여러가지창종諸范
597―여러가지외상諸傷
618―부인병婦人病
635一어린이병小兒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