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별의 말은 목이 길어요
이제 긴 목을 접고 누운 꿈속이에요”
메아리치는 다정한 속삭임의 물결
서정의 가장 큰 함정, 사랑에게로 달려드는 시(詩)
이제 긴 목을 접고 누운 꿈속이에요”
메아리치는 다정한 속삭임의 물결
서정의 가장 큰 함정, 사랑에게로 달려드는 시(詩)
전북 군산에서 태어나 2020년 ‘김유정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강나무 시인의 첫 시집 『긴 문장을 읽고 나니 아흔 살이 됐어요』가 걷는사람 시인선 91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서정의 가장 큰 함정은 사랑”(해설)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시인 강나무의 온기 어린 시선이 담긴 54편의 시가 한 권의 책으로 묶인 것이다. 새로이 태어난 하나의 세계, 이곳은 서정을 메아리치는 다정한 속삭임의 물결로 가득하다.
강나무 시인이 그려내는 서정의 세계는 가히 아름답다. 가령, 이 세계에는 “나무 이름, 들꽃 이름 같은 건 모릅니다//이런 내가 시를 씁니다”(「생긴 대로」)라고 고백하는 화자가 있다. 이토록 순수하고 겸손한 마음을 간직한 주체는 생애의 감정이 가닿는 가장자리를 보듬는다. 세계의 아름다움을 살피며 끊임없이 골몰하고, 삶을 할퀴어내는 사랑과 비애의 정서를 마침내 서정으로 환원하는 시인의 모습이 “쓸 만한 기억들을 찾느라 오랫동안 머물지도 몰라요”(「중고나라」)라고 이야기하는 화자와 어렴풋이 겹쳐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일까.
잔잔하지만 명랑하게, 때로는 용감한 목소리로 부드러운 노래를 이어 가는 시인의 태도는 곡선의 형상으로 나타나는 시의 메타포와 닮아 있다. 예컨대 “나는 처음과 달리 꼬불꼬불 엉켜 있어요/다시 시작해야 하지만 괜찮아요”라는 다짐이 “가방 손잡이는 웃고 있는 내 입을 닮았죠”(「뜨개질을 해요」)라는 결말로 이어지는가 하면, “머리는 차갑고 심장은 뜨거워 웬만한 일에는 놀라지 않”는 기린으로부터 포착해낸 “한자리에서 오랫동안 생각에 잠긴 사람을 보곤 해요/그들도 아주 긴 목을 가지고 있어요”라는 표현이 “이별의 말은 목이 길어요”(「안녕, 기린」)라는 궤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물성을 유연하게 넘나드는 곡선의 통로는 삶을 살아내는 이들을 열원하는 마음과 무관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시인 강나무가 그려내는 시 세계 속 주체들은 타자와 감정을 나누는 일에 기꺼이 뛰어든다는 점에서 찬란하다. 슬픔을 느끼는 이의 등을 바라보며 “넌 혼자가 아니야”(「판다가 벽을 보고 앉아 있다」)라고, 또 “네가 보고 싶다”(「샌프란시스코는 지금 몇 시입니까?」)고 가만히 속삭이는가 하면, “한낮의 파편들에 쓸린 상처를 서로 살피는”(「밤의 여행자」) 일에 품을 아끼지 않는다. 상처받을지언정 다시금 사랑으로 달려들고야 마는 아름다운 망각으로 가득한 시편이 모여 “뜨겁고 말랑한”(「선짓국」) 생에 최선을 다하는 모두에게 전하는 눈부신 안부로 귀결된다.
해설을 쓴 하혁진 문학평론가는 오늘날 “서정이 처한 곤경”의 맥락을 포착하는 것을 시작으로 강나무 시인의 작업이 가지는 의의를 예리하게 분석한다. 또한 “강나무의 담백한 언어는 마주한 세계를 자아 안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욕심이 없어서 투명하”다는 특성을 짚어 나가며 시집의 길잡이가 되어 준다.
박지웅 시인은 추천사를 통해 “그림자와 키스와 나쁜 꿈과 그리움 들은 부재함으로써 현존하는 ‘우리’인데, 이는 시인 자신이 실체적으로 또 비유적으로 관통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분절된 이름들”이라고 명명한다. 또한, “비장보다는 순정에 가깝”고, “맹세보다는 그리움에” 가까운 강나무 시인의 언어가 “비극적이지 않고 다정하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의 첫 행보에 찬사를 보낸다. 이 책을 펼친다면, “바라는 것 없이 사랑하는”(「매화나무를 감고 기다릴게요」) 우리의 태도가 틀리지 않았음을 속삭이는 서정의 언어에 흠뻑 빠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강나무 시인이 그려내는 서정의 세계는 가히 아름답다. 가령, 이 세계에는 “나무 이름, 들꽃 이름 같은 건 모릅니다//이런 내가 시를 씁니다”(「생긴 대로」)라고 고백하는 화자가 있다. 이토록 순수하고 겸손한 마음을 간직한 주체는 생애의 감정이 가닿는 가장자리를 보듬는다. 세계의 아름다움을 살피며 끊임없이 골몰하고, 삶을 할퀴어내는 사랑과 비애의 정서를 마침내 서정으로 환원하는 시인의 모습이 “쓸 만한 기억들을 찾느라 오랫동안 머물지도 몰라요”(「중고나라」)라고 이야기하는 화자와 어렴풋이 겹쳐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일까.
잔잔하지만 명랑하게, 때로는 용감한 목소리로 부드러운 노래를 이어 가는 시인의 태도는 곡선의 형상으로 나타나는 시의 메타포와 닮아 있다. 예컨대 “나는 처음과 달리 꼬불꼬불 엉켜 있어요/다시 시작해야 하지만 괜찮아요”라는 다짐이 “가방 손잡이는 웃고 있는 내 입을 닮았죠”(「뜨개질을 해요」)라는 결말로 이어지는가 하면, “머리는 차갑고 심장은 뜨거워 웬만한 일에는 놀라지 않”는 기린으로부터 포착해낸 “한자리에서 오랫동안 생각에 잠긴 사람을 보곤 해요/그들도 아주 긴 목을 가지고 있어요”라는 표현이 “이별의 말은 목이 길어요”(「안녕, 기린」)라는 궤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물성을 유연하게 넘나드는 곡선의 통로는 삶을 살아내는 이들을 열원하는 마음과 무관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시인 강나무가 그려내는 시 세계 속 주체들은 타자와 감정을 나누는 일에 기꺼이 뛰어든다는 점에서 찬란하다. 슬픔을 느끼는 이의 등을 바라보며 “넌 혼자가 아니야”(「판다가 벽을 보고 앉아 있다」)라고, 또 “네가 보고 싶다”(「샌프란시스코는 지금 몇 시입니까?」)고 가만히 속삭이는가 하면, “한낮의 파편들에 쓸린 상처를 서로 살피는”(「밤의 여행자」) 일에 품을 아끼지 않는다. 상처받을지언정 다시금 사랑으로 달려들고야 마는 아름다운 망각으로 가득한 시편이 모여 “뜨겁고 말랑한”(「선짓국」) 생에 최선을 다하는 모두에게 전하는 눈부신 안부로 귀결된다.
해설을 쓴 하혁진 문학평론가는 오늘날 “서정이 처한 곤경”의 맥락을 포착하는 것을 시작으로 강나무 시인의 작업이 가지는 의의를 예리하게 분석한다. 또한 “강나무의 담백한 언어는 마주한 세계를 자아 안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욕심이 없어서 투명하”다는 특성을 짚어 나가며 시집의 길잡이가 되어 준다.
박지웅 시인은 추천사를 통해 “그림자와 키스와 나쁜 꿈과 그리움 들은 부재함으로써 현존하는 ‘우리’인데, 이는 시인 자신이 실체적으로 또 비유적으로 관통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분절된 이름들”이라고 명명한다. 또한, “비장보다는 순정에 가깝”고, “맹세보다는 그리움에” 가까운 강나무 시인의 언어가 “비극적이지 않고 다정하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의 첫 행보에 찬사를 보낸다. 이 책을 펼친다면, “바라는 것 없이 사랑하는”(「매화나무를 감고 기다릴게요」) 우리의 태도가 틀리지 않았음을 속삭이는 서정의 언어에 흠뻑 빠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긴 문장을 읽고 나니 아흔 살이 됐어요 - 걷는사람 시인선 91
$12.00